10년 만의 보수정권 출범에 따라 문화예술계에서도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문화예술계 인사들은 한국작가회의 등 좌파 성향의 문화단체 대신 보수 우파 성향의 단체가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방송미디어 부문에서도 노무현 정부의 '코드 인사'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인사들에 대한 물갈이가 예상된다.

무엇보다 문화관광부 장관에 어떤 인물이 기용될지가 최대 관심거리.새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는 상징성 때문이다.

일단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서울시장 재직 당시 서울문화재단의 초대 대표를 맡았던 유인촌씨와 앵커 출신의 박찬숙 한나라당 의원 등이 잠재적 후보로 꼽히고 있다.

이들은 이명박 당선자의 선거 캠프에서 문화정책 공약 수립을 주도했다.

현 정부 출범 후 문예진흥원에서 이름이 바뀐 문화예술위원회의 변화와 그동안 한국작가회의에 비해 소외됐던 한국문인협회의 역할도 주목된다.

특히 문인협회는 선거 기간에 104명의 이름으로 이명박 후보를 공개지지해 눈길을 끌었다.

방송위원회의 위상 변화와 위원들의 거취 또한 관심의 대상이다.

방송위원은 대통령이 3명,국회의장이 3명,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추천 몫 3명 등 9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방송ㆍ통신 융합,중간광고 도입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해야 할 시점에 놓여있다.

이와 함께 MBC와 KBS 사장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MBC 사장은 방송문화진흥위원회 이사회,KBS 사장은 KBS이사회의 제청을 통해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명박 당선자의 '문화산업 육성론'도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그는 선거 기간에 "개인의 독창적인 창의성이 한데 모일 때 공동체의 성장엔진이 되며,문화의 창조와 향유가 일상에서 동시에 구현되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문화예술관을 밝혔다.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문화는 국가 경쟁력의 잠재력이 되고 실제 콘텐츠 등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경제적인 의미 또한 크다는 것.

실제 문화관광부는 20일부터 당선자의 '문화대국' 의지를 뒷받침할 구체적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문화부는 "문화예술,체육,관광 등을 연계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구체적 정책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고두현 기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