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원회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 장관들의 평균 재임기간은 433.1일(약 1년2개월).당초 장관 임기를 2년 이상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던 노 대통령이다.

장관들을 총선이나 지방선거에 투입한 영향이 컸다.

장관급 국무위원 51명(2007년 4월 기준ㆍ현직 제외) 가운데 25.5%인 13명이 그런 이유로 사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정권 평균치인 5.4%의 4배를 웃돈다.

"장관들의 임기 보장은 권한과 책임을 맡기고,정책의 일관성ㆍ연속성을 담보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김동노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장관이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다 거쳐야 업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임기가 보장되는 검찰총장 등은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 해야 제도가 망가지지 않는다.

이 당선자는 정치적 논리로 장관을 인사하는 악순환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김용호 대학원장)

인재를 쓰는데 실용주의적 접근이 요구되는 이유다.

"이 당선자는 기업 CEO를 지냈다.

다양한 전문가를 발굴,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용인술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이내영 교수).미국의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정권이 바뀌어도 약 20년간 중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