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세 간판' 마땅치 않네… 손학규ㆍ강금실 등 대안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선에서 참패한 대통합민주신당이 당의 새로운 '간판'으로 누구를 내세울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내년 4월 총선을 대비해 오는 1월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뽑아야 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마땅한 카드가 없어서다.
당내에서는 일단 참여정부에 대한 민심이반이 이번 대선 참패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만큼 '노무현 정부 책임론'에서 자유로우면서도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을 '얼굴'로 앞세워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문제는 여기에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우선 총선까지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해선 계파색이 옅은 정세균ㆍ문희상 전 열린우리당 의장 등 중진급 인사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이 경우 '도로 열린우리당'의 이미지가 오히려 강화될 수 있어 적절치 않은 카드라는 반론이 제기된다.
당내 친노(親盧) 세력에서는 이해찬·한명숙 의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역시 참여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신당 창당시 당 대표로 거론됐던 정대철 상임고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으나 '올드 보이' 이미지가 강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자연스레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쪽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특히 비노 진영에서는 합의추대 형식을 통해 두 사람을 새 지도부로 선출하자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참여정부의 색깔을 뺄 수 있고,당의 쇄신과 변화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감안하면 결국 남는 인물은 두 사람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손 전 지사는 한나라당 탈당 이력이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강 전 장관은 신선하지만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에서는 범여권 통합 과정에서 "노무현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던 김한길 의원이 당권 도전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 외부 인사 수혈론도 나오지만 가능성이 낮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내년 4월 총선을 대비해 오는 1월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뽑아야 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마땅한 카드가 없어서다.
당내에서는 일단 참여정부에 대한 민심이반이 이번 대선 참패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만큼 '노무현 정부 책임론'에서 자유로우면서도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을 '얼굴'로 앞세워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문제는 여기에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우선 총선까지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해선 계파색이 옅은 정세균ㆍ문희상 전 열린우리당 의장 등 중진급 인사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이 경우 '도로 열린우리당'의 이미지가 오히려 강화될 수 있어 적절치 않은 카드라는 반론이 제기된다.
당내 친노(親盧) 세력에서는 이해찬·한명숙 의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역시 참여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신당 창당시 당 대표로 거론됐던 정대철 상임고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으나 '올드 보이' 이미지가 강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자연스레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쪽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특히 비노 진영에서는 합의추대 형식을 통해 두 사람을 새 지도부로 선출하자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참여정부의 색깔을 뺄 수 있고,당의 쇄신과 변화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감안하면 결국 남는 인물은 두 사람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손 전 지사는 한나라당 탈당 이력이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강 전 장관은 신선하지만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에서는 범여권 통합 과정에서 "노무현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던 김한길 의원이 당권 도전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 외부 인사 수혈론도 나오지만 가능성이 낮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