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무게가 얼마나 됩니까?"

"꽤 나갑니다."

"자기 몸무게보다 무거운 걸 들 수 있습니까?"

"힘은 좀 들겠지만 들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자기 자신은 들 수 있습니까,없습니까?"

"……."

백수(白壽)를 바라보 노(老) 목사는 "내가 나 자신을 구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음신앙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고행을 하거나 적선(積善)을 아무리 해도 스스로를 구원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기 위해 하나님의 아들이 오셨으니 이날이 성탄절이라는 얘기다.


성탄절을 앞두고 개신교계의 원로 중 원로인 방지일 목사(96ㆍ서울 영등포교회)를 서울 등촌동의 자택에서 만났다.

올해 목사 안수 70주년을 맞았던 방 목사는 한국 개신교의 산 증인이다.

1930년대 평양대부흥의 현장인 장대현교회에서 길선주 목사를 모시고 전도사로 활동했고,목사가 되자마자 중국 산둥성(山東省)에 파송돼 공산당 정부에 의해 추방당할 때까지 20년간 활동했다.

귀국 후에는 서울 영등포교회를 맡으면서 예장통합 총회장(교단장),대한성서공회 이사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성경을 삶의 푯대로 삼고 기도를 나침반으로 여기는 그에 대해 교계 인사들은 한경직 목사(1902~2000년)에 비견하며 "참으로 존경할 만한 원로"라고 입을 모은다.

―성탄의 의미를 좀 설명해 주십시오.

"복음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이 사람으로 오신 것입니다.

인간을 구하기 위해 신이 사람이 돼서 오신 것이죠.그 분이 예수님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로 오셔서 우리들의 죄를 대신 짊어지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셨고,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요한복음' 14장에 부활하신 예수님은 하늘에 올라가셨다가 다시 오신다고 하셨으니 재림하실 예수님을 잘 준비해서 맞는 것이 우리 신앙의 핵심입니다.

밀턴이 '실낙원'을 통해 인간의 원죄와 낙원에서의 추방을 참으로 잘 묘사했습니다만 예수님은 낙원으로 다시 돌아가는 '복낙원'을 위해 오신 것입니다."

―올해는 개신교계에 참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만,특히 1907년에 있었던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는 행사들이 많았습니다.

"평양대부흥을 기념하면서 '어게인(AGAIN) 1907'이라는 말을 많이들 했는데,이치에 맞지 않는 말입니다.

길선주 목사님 때 부흥한 개신교가 그 뒤에 죽었다면 '어게인'할 게 있지만 당시 20만~60만명이던 신자가 지금은 1000만명에 이르니 '어게인'할 게 없지요.

다만 참으로 부흥이 되려면 회개를 해야 하는데 회개는 말로 하는 게 아닙니다.

내가 죄인임을 철저히 깨달아야 회개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자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부모에게 불효한다든가 장사꾼이 거짓말을 한다든가 하는 죄는 누구나 잘 알 수 있습니다.

그건 쌀통에서 사과를 골라내는 것처럼 쉬운 일이지요.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는 죄는 그냥 쉽게 찾을 수 없습니다.

기도를 통해 찾아내야 합니다.

기도는 '죄를 찾아내는 현미경'이거든요.

우리 인간들 중에 '나는 죄가 없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열심히 기도하면서 하나님 앞에 나를 드러내면 평소에 보이지 않던 작은 죄까지 찾아 회개하게 됩니다."

방 목사는 "화동 선생(방 목사는 기자를 이렇게 불렀다)이나 나나 사람인데 현미경의 배율을 높이면 얼마나 더러운지 모른다"며 "500배 현미경으로 보면 안 보이던 게 1만배 현미경으로 보면 또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도를 통해 죄를 찾고 회개하는 것을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道夕死可矣)'는 옛말에 비유했다.

알고 모름의 차이가 그렇게 크다는 뜻이다.

방 목사는 '기도의 현미경'으로 죄를 찾는 사람만이 회개하지,입으로는 안 된다"며 "부흥한다면서 '할렐루야!' 하고 떠들지만 그런 게 부흥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기도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알아야 회개할 수 있고 그래야 부흥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올해는 한국 봉사자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일로 개신교의 해외 선교에 대한 비판도 많았습니다.

"교회들이 선교사와 자원봉사자를 보내는 것은 좋지만 교회들 간의 맹목적인 경쟁은 반성할 일입니다.

선교사와 봉사자를 보내는 것은 하나님이 하시는 일인데 교회나 목회자가 공명심으로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은 잘못이지요.

다만 해외에 나간 선교사와 봉사자들이 현지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참 많이 하고 있는데 시행착오나 일부의 잘못을 가지고 기독교 전체를 매도하지는 말았으면 좋겠어요."

―개신교에 대한 비판은 자선ㆍ구제사업을 하지 않아서라기보다 타종교에 대한 배타성과 공격적인 선교 방식 등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통성기도에 대해서도 일반인들은 매우 낯설어 하는 게 현실입니다.

"예수를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면서 타인의 종교를 비판해서는 안 되지요.

천당과 지옥은 하나님이 정하실 일이고,각자 예수님을 믿고 죄 사함을 받으면 됩니다.

사실 통성기도는 길선주 목사님이 맨 처음 시작한 것인데,통성기도를 하되 내 기도 소리가 내 귀에 들릴락말락 하게 해야 합니다.

요즘 통성기도는 '오,주여!' 하고 만세삼창하듯이 소리를 높이는데 하나님이 귀 잡쉈나요? 기도란 이불 속에서 내외간에 얘기하듯이 속닥속닥 해야 재미있지 수백명이 모여 떠들면 서로 방해만 돼요.

기도는 하나님과 나누는 대화인데 소곤소곤해야 기도가 더 맛있고 하나님과 잘 통해요."

―올해로 목사 안수 70주년을 맞으셨는데 참다운 목회자의 길이란 어떤 걸까요?

"목사는 신령한 일을 하는 사람이나 경험이나 아는 것이 많다고 자랑해선 안 됩니다.

또 목사가 내 교회를 직업(job)으로,기업으로 삼아서도 안 됩니다.

대신 매일 자신을 버리고 또 버려서 '나'는 없어져야 합니다.

예산이나 구제사업,선교사 파송 등을 자랑하면 신앙을 떠난 것입니다.

일은 하나님이 하신 것이지 사람이 한 게 아니니까요."

―시간을 거꾸로 돌려 다시 젊어진다면 뭘 하고 싶으세요?

"내가 다시 젊은 목사가 된다면 조용하고 은근하게 하나님 앞에 예배를 드리는 예배 중심의 교회를 만들고 싶어요.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성경 중심의 가정을 이루도록 애쓰고 싶어요.

성경에 '부부는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고 했는데 둘이 한 몸이 돼야 한다는 말이지요.

이는 동물적 성생활을 말하는 게 아니라 상대방에게 자신을 온전히 제공하고 스스로는 '영(zero)'이 되는 것입니다.

희생 없이는 한 몸이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성경의 가정관은 '1+1'이 아니라 '1+0'이에요."

―새로운 대통령이 뽑혔습니다.

교계에서는 '장로 대통령'에 대한 기대도 많은 것 같습니다만,새 대통령이 어떤 일을 꼭 해주기를 기대하십니까?

"이명박 당선자는 서울시장 때 만난 적이 있습니다만,교육을 교육답게 살리는 데 힘썼으면 합니다.

특검법 통과 과정에서 국회에서 의원들이 난장판을 만드는 것도,경제가 어려운 것도,학생이 선생을 가볍게 여기는 것도 다 교육이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를 살렸는데 교육이 엉망이면 그 경제가 오래 가겠습니까.

뻥튀기 팔던 학생을 대통령으로 만든 것도 교육 아닙니까.

대통령이 장로라고 특별히 기대할 거 없어요.

대통령이 자기 신앙을 지키면서 성경대로만 하면 잘할 겁니다."

글=서화동/사진=양윤모 기자 fireboy@hankyung.com


< 약력 >

△1911년 평북 선천 출생
△1933년 평양숭실대 영문과 졸업.평양 장대현교회 전도사
△1937년 평양 장로회신학교 졸업.목사 안수 후 중국 산둥성 선교사로 파송
△1945년 산둥성 칭다오 교민회 외교부장,한국학교 교장
△1957년 중국 공산정권에 의해 강제 추방 후 귀국
△1958년 영등포교회 담임목사
△1971년 예장통합 총회장
△1969년 영등포교회 원로목사
△1982년 대한성서공회 이사장
△1998년 숭실인상 추양목회대상 수상
△1998년 국민훈장 모란장 서훈
△2004년 장신대 명예 신학박사
△2007년 목사 안수 70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