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대선책임론 '네탓 공방' 허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통합민주신당이 대선 패배의 원인을 둘러싼 '네 탓 공방' 속에 표류하고 있다.
대선 참패의 책임론과 지도체제 구성 등을 놓고 당 내 세력 갈등이 불거지면서 충돌음이 갈수록 커지는 형국이다.
신당은 24일 대선 이후 처음 가진 의원 총회에서 당 수습 방안에 대해 격론을 벌인 끝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지도부 경선을 통해 엄정한 대선 평가와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감동 없는 '책임론 공방'은 벌이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맞섰다.
김한길 그룹 소속 의원들은 이날 "대선 패배는 노무현 심판론이 결정적 원인이다.
노무현 그림자가 있는 사람들은 확실히 뒤로 물러나야 한다"며 친노 배제론을 들고 나왔다.
일부에서는 원로ㆍ중진 및 386에 대해서도 인책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한 의원은 "원로·중진들도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고 정동영계 초선 의원은 "인적 청산이 불가피하다"며 "참여정부의 장관과 총리,중진 그룹,386그룹은 2선으로 물러나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친노 의원들은 맞대응을 자제하면서도 "지금이 네 탓,내 탓 따질 때냐"고 반발했다.
이화영 의원은 친노 배제론에 대해 "위험한 사고"라고 비판하면서 "패배의 책임은 누구보다 후보에게 있다.
책임론 공방 이전에 잘 단합해 지지자들을 고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 의원은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전날 신당 전북 선대위 해단식에서 "대선이 끝났어도 큰 뜻을 이루려는 내 꿈은 쉼없이 커질 것"이라고 말한 것을 겨냥해 "대선 패배의 책임은 얘기하지 않고 지금 꿈 얘기나 할 때냐"며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친노 진영은 오는 27일 이해찬 전 총리 중심으로 '광장' 연구소를 발족해 선거에 대한 평가와 향후 진로를 모색하기로 했다.
인책 공방은 지도체제 논란으로 이어졌다.
김한길 그룹은 "경선을 통해 치열한 노선 투쟁을 벌이자"며 경선론을 제기했지만 당 중진 그룹과 손학규 그룹,친노 진영,386 및 수도권 초ㆍ재선의 상당수는 합의 추대 쪽으로 가야 한다고 맞섰다.
신당은 이날 내년 2월3일 개최될 전당대회 의장에 김덕규 상임고문을 임명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대선 참패의 책임론과 지도체제 구성 등을 놓고 당 내 세력 갈등이 불거지면서 충돌음이 갈수록 커지는 형국이다.
신당은 24일 대선 이후 처음 가진 의원 총회에서 당 수습 방안에 대해 격론을 벌인 끝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지도부 경선을 통해 엄정한 대선 평가와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감동 없는 '책임론 공방'은 벌이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맞섰다.
김한길 그룹 소속 의원들은 이날 "대선 패배는 노무현 심판론이 결정적 원인이다.
노무현 그림자가 있는 사람들은 확실히 뒤로 물러나야 한다"며 친노 배제론을 들고 나왔다.
일부에서는 원로ㆍ중진 및 386에 대해서도 인책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한 의원은 "원로·중진들도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고 정동영계 초선 의원은 "인적 청산이 불가피하다"며 "참여정부의 장관과 총리,중진 그룹,386그룹은 2선으로 물러나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친노 의원들은 맞대응을 자제하면서도 "지금이 네 탓,내 탓 따질 때냐"고 반발했다.
이화영 의원은 친노 배제론에 대해 "위험한 사고"라고 비판하면서 "패배의 책임은 누구보다 후보에게 있다.
책임론 공방 이전에 잘 단합해 지지자들을 고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 의원은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전날 신당 전북 선대위 해단식에서 "대선이 끝났어도 큰 뜻을 이루려는 내 꿈은 쉼없이 커질 것"이라고 말한 것을 겨냥해 "대선 패배의 책임은 얘기하지 않고 지금 꿈 얘기나 할 때냐"며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친노 진영은 오는 27일 이해찬 전 총리 중심으로 '광장' 연구소를 발족해 선거에 대한 평가와 향후 진로를 모색하기로 했다.
인책 공방은 지도체제 논란으로 이어졌다.
김한길 그룹은 "경선을 통해 치열한 노선 투쟁을 벌이자"며 경선론을 제기했지만 당 중진 그룹과 손학규 그룹,친노 진영,386 및 수도권 초ㆍ재선의 상당수는 합의 추대 쪽으로 가야 한다고 맞섰다.
신당은 이날 내년 2월3일 개최될 전당대회 의장에 김덕규 상임고문을 임명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