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쇄신' 놓고 신당 계파간 난타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적 쇄신' 문제를 둘러싼 대통합민주신당 내 계파 간 갈등이 난타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친노 세력 2선 후퇴론'을 놓고 비노 진영과 친노 세력이 정면 충돌하는 형국이어서 '제2의 민주당 분당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당 해산을 포함한 전면적인 쇄신을 요구했던 초선 의원들은 27일 회동을 갖고 현 지도부의 즉각 사퇴와 참여정부에서 총리 장관 당의장 원내대표를 지낸 인사들의 백의종군을 거듭 촉구했다.
문병호 의원은 모임이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현재 당 쇄신위는 당 쇄신을 논할 자격이 없으며,쇄신위 자체가 쇄신 대상"이라며 "지도부 즉각 사퇴와 당.정 핵심 인사 백의종군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쇄신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쇄신운동에 나선 초선 의원은 이기우 의원이 탈퇴하고 김재홍 우제창 의원이 추가로 참여해 19명으로 늘어났다.
당내 대표적 비노 성향인 김한길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참여정부가 잘못한 게 뭐냐'며 정면 돌파를 주장하던 사람들은 이제 잘못을 소리 내서 고백하고 앞줄에서 물러나 자숙해야 한다"며 친노 세력의 2선 퇴진을 공식 요구했다.
그는 "현 지도부와 그들이 선임한 쇄신위가 마련하는 쇄신책으로는 당이 수습될 것 같지 않다"며 "당헌에 따라 정상적인 전당대회에서 경선을 통해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여기에 당 쇄신에 관한 전권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역공도 만만치 않다.
쇄신위 간사인 김교흥 의원은 "열린우리당이나 신당이 아이디어만 갖고 하다 보니 이렇게 됐는데 합의 도출이 중요하다"며 "초선 의원들의 방식은 과거의 답습"이라고 비난했다.
이해찬 전 총리를 비롯한 친노 세력들도 이날 서울 CCMM빌딩에서 재단법인 '광장' 준비위원회 창립 기념 토론회를 열고 '친노 세력 2선 후퇴론'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대선 패배의 원인을 친노.반노의 틀로 환원시켜서 찾게 되면 오히려 당의 진로가 보이지 않는다"며 초선 의원들과 김한길 의원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특히 '친노 세력 2선 후퇴론'을 놓고 비노 진영과 친노 세력이 정면 충돌하는 형국이어서 '제2의 민주당 분당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당 해산을 포함한 전면적인 쇄신을 요구했던 초선 의원들은 27일 회동을 갖고 현 지도부의 즉각 사퇴와 참여정부에서 총리 장관 당의장 원내대표를 지낸 인사들의 백의종군을 거듭 촉구했다.
문병호 의원은 모임이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현재 당 쇄신위는 당 쇄신을 논할 자격이 없으며,쇄신위 자체가 쇄신 대상"이라며 "지도부 즉각 사퇴와 당.정 핵심 인사 백의종군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쇄신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쇄신운동에 나선 초선 의원은 이기우 의원이 탈퇴하고 김재홍 우제창 의원이 추가로 참여해 19명으로 늘어났다.
당내 대표적 비노 성향인 김한길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참여정부가 잘못한 게 뭐냐'며 정면 돌파를 주장하던 사람들은 이제 잘못을 소리 내서 고백하고 앞줄에서 물러나 자숙해야 한다"며 친노 세력의 2선 퇴진을 공식 요구했다.
그는 "현 지도부와 그들이 선임한 쇄신위가 마련하는 쇄신책으로는 당이 수습될 것 같지 않다"며 "당헌에 따라 정상적인 전당대회에서 경선을 통해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여기에 당 쇄신에 관한 전권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역공도 만만치 않다.
쇄신위 간사인 김교흥 의원은 "열린우리당이나 신당이 아이디어만 갖고 하다 보니 이렇게 됐는데 합의 도출이 중요하다"며 "초선 의원들의 방식은 과거의 답습"이라고 비난했다.
이해찬 전 총리를 비롯한 친노 세력들도 이날 서울 CCMM빌딩에서 재단법인 '광장' 준비위원회 창립 기념 토론회를 열고 '친노 세력 2선 후퇴론'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대선 패배의 원인을 친노.반노의 틀로 환원시켜서 찾게 되면 오히려 당의 진로가 보이지 않는다"며 초선 의원들과 김한길 의원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