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27일 북한 영변 핵시설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 일정과 관련,"연말인 타깃 데이트(목표 시한)를 넘어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날 내외신 기자를 대상으로 한 송년 브리핑에서 "신고와 불능화에서 모두 고비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북핵 해결이 난관에 봉착해 있다고 밝힌 것이다.

송 장관은 그러나 현학봉 북한 외무성 부국장이 전날 교도통신과의 회견에서 "경제적 보상이 더뎌 비핵화가 늦어질 수 있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는 "타깃 데이트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한 말로 특별한 무게를 두지 않는다"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그는 이어 "현재 핵 프로그램 신고를 위한 협의 과정에 있다"며 "(속도가 예정보다 더뎌도) 합의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미국과 플루토늄 누적 생산량 문제로 갈등 중이라는 도쿄신문 보도에 대해서도 "검증 과정에서 확인할 사항이지 지금 맞다,안 맞다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언급했다.

북한은 플루토늄 생산량이 30㎏이라고 밝힌 반면 미국은 최대 50㎏으로 추정했다.

북한은 12월31일까지 불능화와 신고를 마치기로 했으나 시한을 넘길 것이 확실시된다.

최대 이유는 미국과 신고 범위를 놓고 합의를 못 봤기 때문이다.

북한이 경제적 보상의 속도를 문제삼은 것은 핑계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북한이 이미 관련 일정에 합의했기 때문이다.

북한이 경제적 대가로 받기로 한 중유 50만t 상당의 탄광.발전소 개보수 설비.자재는 한.중.미.러 4개국이 내년 4월까지 단계적으로 보내기로 돼 있다.

각 지원국들은 북한과 품목마다 기준 가격을 놓고 새로 협의해야 해 지원 속도가 더디다.

남북한과 중국 3개국은 25~27일에도 평양에서 중국이 보낼 자재 장비의 품목과 지원 방법을 주제로 협의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