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31일 노무현 대통령이 정치인과 경제인 등 75명에 대해 특별 사면.감형.복권 조치를 취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이낙연 대통합민주신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사회 통합과 국민 화합을 위한 조치로 환영한다"면서 "특별 사면.복권 대상자들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 나름대로 기여해오신 분들로 사회를 위해 다시 공헌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반면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노 대통령이 단행한 사면의 특징은 원칙도 기준도 없는 유권무죄 무권유죄이고 법치주의 파괴형,측근 구하기"라고 비난했다.

나경원 대변인도 "집권 초기부터 남용한 사면권을 집권 말기까지 어떤 비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행사한 코드 정부의 코드 사면은 마치 브레이크가 고장난 멈추지 않는 기차와 같다"고 혹평했다.

한편 이날 단행된 사면.복권으로 '정치적 족쇄'가 풀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 박지원 전 비서실장과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의 향후 행보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두 사람은 사면.복권 조치가 발표되자 소감문을 내고 새 출발의 의지를 다졌지만 정치 재개 여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박 전 실장은 "처음처럼 김 전 대통령님 내외분을 모시겠다.

또한 미래로 향하는 새 출발의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도 "주위 분들의 지혜와 충고를 모아 국민께 다가가는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두 사람이 조만간 정치 행보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박 전 실장은 내년 총선에서 목포 또는 광주 남구에,한 전 대표는 목포 등 호남지역 출마설이 나돌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