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1일 "근본적으로 주택값이 비싸다는 생각을 한다"면서 "새 정부 들어 주택 가격이 오르리라고 보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SBS와 KBS에 잇따라 출연,"집값 상승은 어떤 방식으로든 억제해야 하지만 조세 정책만 가지고는 잡을 수 없다"면서 "조세 정책으로 (집값이) 일시적으로 주춤하겠지만 공급이 줄어들어 몇 년 지나면 더 위험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당선인은 "조세 정책이라는 게 헌법과는 달라서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 "당장 조정할 생각은 없다.

이미 금년에 (세금이) 부과됐으니 다음 부과 때까지 시장 추세를 봐 가면서 아주 융통성 있게 할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동산이 너무 얼어붙어 지방 경제가 어려워졌다"면서 "정상 거래는 일어나게 하고 공급 물량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느 정도 개발 이익은 환수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주택 사업하는 사람들도 갑작스런 기대를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못박은 뒤 "10년 후 주택이 투기 대상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부처는 줄이되 무리하게 과격하게 하지는 않겠다"면서 "인원은 한꺼번에 대폭 축소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반노동자 정책을 쓰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친기업 정책을 쓴다는 게 반노동자 정책이라고 할 수 없다"며 "일자리가 많아져 노동의 기회가 많아지는 게 친노동자 정책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개헌 문제에 대해 "단순히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를 맞추자는 게 헌법을 바꾸는 주 이유가 될 수 없다"며 "권력 구도뿐 아니라 21세기에 맞는 남녀평등 문제와 환경 문제 등 여러 가지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신중론을 개진했다.

개헌 시기와 관련해선 "경제도 살려야 하고 어려운 일들이 많은 만큼 적절한 시기에 국민들 의사를 물어서 고려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북한 핵문제에 대해서는 "핵을 포기하는 것이 북한 주민에게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을 설득시켜야 한다"며 "북한도 세계 추세 변화를 잘 읽고 있어 그렇게 낙담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당 내 최대 쟁점인 총선 공천 시기에 대해 "당에 맡기는 게 원칙이나 정부조직법 등 2월 국회에서 처리해야 할 게 많은 상황에서 공천 문제에 휩싸이면 협조가 잘되겠느냐"며 공천 시기를 2월 국회 이후로 늦춰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쳐 논란이 예상된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