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처 조직 개편이 임박하면서 해당 부처들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조직 개편 방안이 어떻게 확정되느냐에 따라 조직의 존폐가 갈리기 때문에 인수위에서 나오는 말 한마디 한마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은 1일 삼청동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내가 일본에 놀라는 것은 일본같이 전통적 관료사회도 대장성 같은 조직을 없애는 조직 개편을 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이어 "대장성은 우리로 하면 재무부에 해당하는데 (당시)일본 사회를 완전히 지배했었다"며 "일본은 이 조직을 없애는 조직 개편을 단행해 '잃어버린 10년'이 아니라 '준비하는 10년'으로 바꿔 지금(그 성과가)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같은 관료사회도 어려운 조직 개편을 한 만큼 우리도 실효성있는 정부 조직 개편에 박차를 가해 달라는 주문인 셈이다.

일본은 2001년 22개의 성청(省廳)을 12개로 줄이는 정부조직 개편에 나서면서 대표적 권력기구인 대장성을 재무부와 금융부 경제재정부로 분할했다.

대장성 설립 132년 만의 일이었다.

'큰 창고'라는 뜻을 가진 대장(大藏)성은 메이지유신 시대부터 수많은 총리를 배출해 온 대표적인 권력기구였으나 '잃어버린 10년'을 벗기 위한 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해체된 것이다.

이 당선인의 발언이 전해지자 당장 재정경제부가 술렁였다.

명칭은 '재무부'라고 다르게 거명됐지만 개혁 대상이었던 대장성에 비유됐기 때문이다.

한 재경부 관계자는 "경제정책 총괄 조정기능과 금융,세제,환율정책 등을 포괄하고 있는 재경부 기능가운데 상당 부분을 이관하거나 축소시키자는 얘기 아니냐"고 해석했다.

그러나 일부에선 당선인의 발언이 재경부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재경부 관계자는 "예전 재정경제원이 재경부와 기획처,금감위 등으로 분리되면서 권한은 분산됐지만 대신 부처가 쪼개지면서 오히려 인력이 늘어나고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있었다"며 "효율성을 강조한 발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예상치 못한 반응이 나오자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특정 부처를 개혁대상으로 지목하고 한 얘기는 아니다"고 해명했다.

박수진/정재형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