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타자 교육부 인수위에 어떤 내용 보고했나] 논란중인 수능등급제 빠져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부의 대통령직인수위 보고에는 논란이 됐던 수능 등급제와 관련된 내용은 빠져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백기투항'을 선언한 교육부가 '마지막 자존심'을 세울 수 있는 부분을 '수능 9등급제'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인수위가 어떤 방식으로든 수능 등급제에 손을 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수능 등급제는 2008학년 대입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다.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한 기존 제도 하에서는 난이도 조절에 다소 문제가 있거나 오답 논란이 빚어져도 피해 학생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등급제에서는 전 수험생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로 등급제의 이 같은 단점은 2008학년도 대입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수리 가형의 경우 한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내려갈 만큼 쉽게 출제돼 난이도 논란이 초래됐다.
과학탐구 물리II과목의 오답 논란도 수능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정강정 원장을 낙마시켰을 만큼 전국적인 이슈가 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입 전형 과정에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등급과 더불어 원점수나 표준점수,백분위 비율을 전면 공개하는 방안 등을 인수위 관계자들과 협의하겠다"며 "일단 보고에는 수능 등급제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인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표명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표준점수 백분위 비율 공개 등의 보안책을 도입하더라도 최소한 2~3년 정도의 유예 기간을 둬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백기투항'을 선언한 교육부가 '마지막 자존심'을 세울 수 있는 부분을 '수능 9등급제'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인수위가 어떤 방식으로든 수능 등급제에 손을 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수능 등급제는 2008학년 대입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다.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한 기존 제도 하에서는 난이도 조절에 다소 문제가 있거나 오답 논란이 빚어져도 피해 학생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등급제에서는 전 수험생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로 등급제의 이 같은 단점은 2008학년도 대입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수리 가형의 경우 한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내려갈 만큼 쉽게 출제돼 난이도 논란이 초래됐다.
과학탐구 물리II과목의 오답 논란도 수능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정강정 원장을 낙마시켰을 만큼 전국적인 이슈가 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입 전형 과정에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등급과 더불어 원점수나 표준점수,백분위 비율을 전면 공개하는 방안 등을 인수위 관계자들과 협의하겠다"며 "일단 보고에는 수능 등급제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인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표명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표준점수 백분위 비율 공개 등의 보안책을 도입하더라도 최소한 2~3년 정도의 유예 기간을 둬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