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급등한 국제유가는 공급이 한정된 가운데 수요는 급증하는 구조적인 수급불균형에 따른 것으로 올해도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세계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감에 따라 유가는 올랐지만 수요는 줄지 않고 있다.

두자릿 수의 높은 경제성장률로 중국 등 신흥 개도국과 러시아.중동 등 산유국의 국내 수요가 늘고 있고 미국 이외의 선진국 경우 달러화 약세와 자국통화의 강세로 수요가 고유가에 둔감해진 상황이다.

케임브리지 에너지연구소(CERA) 등 주요 분석기관들은 최근 유가 전망치를 속속 높였다.

CERA는 특히 공급부족이 발생하는 고유가 시나리오 하에서는 올해 3.4분기에 두바이유 기준으로 101.5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고유가와 세계적 '자원전쟁' 상황에서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는 안정적 에너지 확보를 위해 해외로 진출하고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는 노력의 필요성이 한층 절실해졌다.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은 화석연료의 고갈에 대한 대비 차원을 넘어서 날로 심각해지는 지구온난화 문제의 대안으로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에너지 확보 문제 없나
우리나라는 세계 7위의 석유 소비국이지만 중동 의존도가 높고 석유 자주개발률이 낮아 에너지 위기 대응력이 다른 국가에 비해 취약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2차례 '오일쇼크'로 값비싼 경험을 치른 이후인 1979년 설립된 한국석유공사를 통해 국가비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980년부터 시작된 비축사업은 현재 국내 9개 기지에 1억2천100만배럴 규모의 비축시설을 확보했으며 2009년까지 1억4천600만배럴로 늘리는 3차 계획을 추진중이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정부 비축유는 7천600만배럴로 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 기준으로 59일분에 달하는 물량이다.

즉 갑자기 석유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져도 우리나라 경제는 50일 이상 가동될 수 있다는 의미다.

여기에 민간비축 9천270만배럴(65일분)을 더하면 전략적 비축 효과는 124일로 늘어난다.

석유공사는 내년까지 비축시설 증축을 끝내고 2010년부터는 1억4천100만배럴까지 비축할 예정으로 과거 오일쇼크와 달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는 갖췄다.

국내에 석유를 쌓아 두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과제는 낮은 에너지 자주개발률을 높이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원유와 가스 국내 수입량에서 국내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물량의 비중인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2006년 3.2%에 그쳤고 올해도 당초 목표였던 10%에 크게 못 미치는 5.7%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을 2016년 28%까지 대폭 끌어 올리는 3차 해외 자원개발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세계 각지의 85개 탐사.생산광구의 생산계획 등을 감안해 마련된 것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자신하고 있다.

이 계획이 실현된다면 자주개발률이 2013년에는 애초 목표치인 18%보다 높은 20%에 이르고 2016년에는 28%까지 올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원확보가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고유가와 함께 남미, 러시아 등을 중심으로 국영 에너지기업의 프로젝트 참여 강화 등 '신(新)자원민족주의'가 대두하면서 국제 여건이 변해 전략의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신자원민족주의는 자원에 대한 국가의 통제권 강화를 위해 다수의 자원보유국이 협력체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편으로 선진기술이 필요한 특정분야에 대해서는 자국 자원의 개방을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해외 자원개발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의 대규모 석유개발기업 육성은 물론이고 정보통신(IT)과 건설, 문화 등 관련 산업과의 연계 진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대체 에너지를 찾아라
불안정한 석유 수급상황은 장기적 추세이며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등 지구온난화 이슈가 날로 중요해지면서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미 주요 선진국들은 에너지 소비 억제 보다는 태양광이나 풍력,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보급에 나선 상태다.

특히 가정, 상업, 산업용의 냉난방 에너지수요가 최종 에너지수요의 40~50%를 차지하고 있어 각국은 냉난방용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실제 스웨덴의 경우 2006년 기준으로 지역난방용 연료의 62%가 바이오매스로부터 조달됐다.

또 일조량이 적은 독일이나 오스트리아도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라 태양열 온수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IEA는 지난해 7월에 발간한 '냉난방용 신재생에너지' 보고서에서 "신재생에너지 활용도가 높은 국가들의 경우 정부의 확대보급 정책이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국내의 신재생에너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독일과 스웨덴, 캐나다 등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를 참조해 국내 여건에 적합한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현황은 선진국에 비해 뒤처져 있지만 최근 들어 정부 지원 속에 현대중공업, 효성, LG 등 대기업들의 참여도 활발해지는 추세다.

정부는 '제2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을 통해 2011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을 전체 에너지 보급량의 5%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정해놓고 있다.

이에 발맞춰 2003년 1천193억원이던 관련 예산을 계속 늘려 올해는 4천350억원을 투자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보급사업 지원에 나섰다.

한국전력 등 9개 에너지 공기업도 정부와 신재생에너지 개발공급협약을 체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건설과 연구.개발(R&D)에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모두 1조1천367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러한 투자는 최근 신재생에너지원별 보급물량의 급격한 신장과 산업화로 이어져 풍력의 발전규모는 2003년 17메가와트(MW)에서 2006년 175MW로 크게 증가했고, 태양광의 발전설비 규모 역시 같은 기간 1MW에서 28MW로 늘었다.

또 공공의무화 제도 등을 통해 지열은 2003년 대비 설치 물량이 10배 이상 증가했다.

정부는 이외에도 세계 최대 규모의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 착수, 폐목재 등을 활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소 건설 등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와 함께 고유가 시대 화석연료의 비중을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다시 떠오르는 것이 원자력 이용의 확대다.

2005년 말 기준으로 1KW당 전력 생산비용을 보면 액화천연가스(LNG)가 86.29원, 석탄이 43.68원인데 비해 원자력은 39.41원으로 고유가 시대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우리나라 원전의 발전 설비용량은 1만7천716MW로 전체 설비용량의 28.5%이지만 저렴한 비용 때문에 실제 발전량은 14만6천779GWh로 전체 발전량의 40.3%를 차지했다.

지난해 5월에 열린 IEA 각료급 이사회도 지구 온난화 및 석유.가스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의 활용을 증진해야 한다는 내용의 문구를 최종 선언문에 반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박대한 기자 justdust@yna.co.krpdhis95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