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급지원 전문하사 1호 신고합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직장인 수준의 월급을 받으며 장기 복무하는 유급 지원병제 전문 하사 1호가 탄생했다.
육군은 3일 일선 부대 가운데 최초로 17보병사단 김수천 병장(24)을 전문 하사로 임용했다고 밝혔다.
유급 지원병 제도는 병력 감축에도 불구하고 첨단 장비 운용에 필요한 전문 인력과 복무기간 단축에 따른 숙련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전투ㆍ기술 숙련병과 첨단 장비 인력 등 종류에 상관 없이 의무 복무기간이 끝나면 하사 계급이 부여돼 단기복무 부사관 신분이 된다.
김수천 하사는 2006년 1월 입대해 155㎜ 견인포 사수로 복무했으며 지난해 11월 전문 하사 선발 시험에 응시해 합격했다.
사단에서 실시한 직무수행 능력 평가와 체력 검정,인성 및 신체 검사 등 전형에서 100점 만점에 90점을 받았다.
김 하사는 "전군 1호 전문 하사인 만큼 자부심을 가지고 병사 생활 경험을 토대로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방부는 올해 2000명의 유급 지원병을 시범 운영한 뒤 매년 2000~3000명씩 늘려 2020년 이후에는 4만명 선을 유지할 계획이다.
군별로는 육군 3만4500명,해군ㆍ해병대 3500명,공군 2000명이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
육군은 3일 일선 부대 가운데 최초로 17보병사단 김수천 병장(24)을 전문 하사로 임용했다고 밝혔다.
유급 지원병 제도는 병력 감축에도 불구하고 첨단 장비 운용에 필요한 전문 인력과 복무기간 단축에 따른 숙련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전투ㆍ기술 숙련병과 첨단 장비 인력 등 종류에 상관 없이 의무 복무기간이 끝나면 하사 계급이 부여돼 단기복무 부사관 신분이 된다.
김수천 하사는 2006년 1월 입대해 155㎜ 견인포 사수로 복무했으며 지난해 11월 전문 하사 선발 시험에 응시해 합격했다.
사단에서 실시한 직무수행 능력 평가와 체력 검정,인성 및 신체 검사 등 전형에서 100점 만점에 90점을 받았다.
김 하사는 "전군 1호 전문 하사인 만큼 자부심을 가지고 병사 생활 경험을 토대로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방부는 올해 2000명의 유급 지원병을 시범 운영한 뒤 매년 2000~3000명씩 늘려 2020년 이후에는 4만명 선을 유지할 계획이다.
군별로는 육군 3만4500명,해군ㆍ해병대 3500명,공군 2000명이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