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가가 바닥권에 도달, 매수 타이밍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 악화 리스크가 크다는 지적이다.

8일 이민희 동부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에 대해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바닥권에 도달해 있고 LCD 사업부문의 실적 호조가 예상된다"며 "지금부터 주가 약세는 매수기회"라고 분석했다. 목표주가는 63만2000원에서 67만4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는 또 "D램은 올해 1분기에도 공급 과잉이 이어질 전망이나 이미 지난해 4분기부터 재고 소화 과정에 진입해 있다"며 "윈도비스타 SP1 출시 이후인 2분기 후반부터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예상했다.

그동안 비스타는 사실상 테스트용이어서 기업들이 운용체제(OS) 교체를 꺼려했으며, 호환성과 보안 문제 등 많은 애로가 있었으나 SP1 출시를 계기로 해소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1조5500억원으로 추정했다. 특히 LCD 부문 영업이익이 9702억원을 기록해 반도체(2988억원)와 통신(5281억원)을 합친 규모보다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역시 LCD가 실적을 견인할 것이란 관측이다.

그러나 하이닉스는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806억원, 2715억원씩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3분기부터 D램 생산증가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원가 개선폭이 적은 반면 가격은 급락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낸드플래시가 흑자를 유지했으나 올해 1분기에는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며 "하반기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되지만 상반기의 낮은 가격구조를 고려할 때 아직은 하이닉스의 실적악화 리스크가 커 보인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