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活정보 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혁인 < 중앙대 교수·경영학 >
문자를 아는 사람이 귀했던 과거엔 유식한 사람을 일컬어 '식자(識字)'라 했다.이는 '아는 것이 많은 사람'이라는 뜻이 아니라 '글이나 글자를 안다'는 의미다.문맹이 당연했던 시대에는 글자를 아는 것만으로도 지식인이 되고,고급 정보를 소유하고,상류층이 될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인터넷의 등장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다.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와 지식의 양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이제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정보의 바다'에 떠다니고 있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얼마나 잘 연관시켜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진 것이다.이것이 바로 '정보의 컨버전스'이다.
컨버전스(convergence)의 사전적 의미는 '한 곳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하지만,최근 불고 있는 컨버전스풍(風)은 단순한 통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를 예로 들면 프린터와 스캐너,복사기가 결합된 복합기나 신용카드에 교통카드,디지털 카메라에 MP3플레이어 기능까지 갖춘 휴대폰 등을 꼽을 수 있다.
정보의 컨버전스는 가장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의 문까지 열게 하고 있다.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과학기술 종합정보 서비스(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가 바로 그것이다.이달 중 시범 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NTIS는 범(汎)부처 국가 연구개발(R&D) 정보를 통합해 공동 활용하는 지식포털 사이트다.그동안 각 부처에서 개별 관리되고 있던 국가 R&D 정보를 표준화를 통해 공유하고,나아가 더 나은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될 것이다.
소유만 하고 있는 정보는 막힌 웅덩이 속에 고인 물처럼 그 안에서 썩어 버릴 수밖에 없다.커다란 바다로 그 정보들을 흐르게 하고,그 속에서 정보가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을 때 깨끗하고 투명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한 단계 더 나은 정보의 컨버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제 정보의 '소유'가 아니라 정보 '공유'의 시대,'식자(識字)'의 시대가 아닌 '활정보(活情報)'의 시대다.그 변화의 시대에 정부도 발맞출 때다.NTIS가 이런 서비스 마인드로 성공하길 기대해 본다.
문자를 아는 사람이 귀했던 과거엔 유식한 사람을 일컬어 '식자(識字)'라 했다.이는 '아는 것이 많은 사람'이라는 뜻이 아니라 '글이나 글자를 안다'는 의미다.문맹이 당연했던 시대에는 글자를 아는 것만으로도 지식인이 되고,고급 정보를 소유하고,상류층이 될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인터넷의 등장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다.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와 지식의 양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이제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정보의 바다'에 떠다니고 있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얼마나 잘 연관시켜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진 것이다.이것이 바로 '정보의 컨버전스'이다.
컨버전스(convergence)의 사전적 의미는 '한 곳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하지만,최근 불고 있는 컨버전스풍(風)은 단순한 통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를 예로 들면 프린터와 스캐너,복사기가 결합된 복합기나 신용카드에 교통카드,디지털 카메라에 MP3플레이어 기능까지 갖춘 휴대폰 등을 꼽을 수 있다.
정보의 컨버전스는 가장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의 문까지 열게 하고 있다.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과학기술 종합정보 서비스(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가 바로 그것이다.이달 중 시범 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NTIS는 범(汎)부처 국가 연구개발(R&D) 정보를 통합해 공동 활용하는 지식포털 사이트다.그동안 각 부처에서 개별 관리되고 있던 국가 R&D 정보를 표준화를 통해 공유하고,나아가 더 나은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될 것이다.
소유만 하고 있는 정보는 막힌 웅덩이 속에 고인 물처럼 그 안에서 썩어 버릴 수밖에 없다.커다란 바다로 그 정보들을 흐르게 하고,그 속에서 정보가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을 때 깨끗하고 투명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한 단계 더 나은 정보의 컨버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제 정보의 '소유'가 아니라 정보 '공유'의 시대,'식자(識字)'의 시대가 아닌 '활정보(活情報)'의 시대다.그 변화의 시대에 정부도 발맞출 때다.NTIS가 이런 서비스 마인드로 성공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