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신발 브랜드인 ‘어그(UGG)’ ‘호카(HOKA)’로 급부상한 데커스아웃도어가 이달 들어 20% 넘게 급락했다. 호실적에도 주가가 정반대로 움직이는 상황이다.뉴욕증시에 상장된 데커스아웃도어(티커명 DECK)는 지난 6일 0.19% 떨어진 172.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이 종목의 주가는 210~220달러대를 유지했는데, 지난달 31일을 기점으로 170달러 선에서 횡보하고 있다.데커스아웃도어 주가는 작년 한 해에만 80.7% 올랐다. 2024년 1월 112.33달러로 시작한 주가가 연말 203.09달러까지 상승한 것이다. 일등 공신은 회사의 대표 브랜드인 어그와 호카다. Y2K(2000년대 초반 패션) 복고 트렌드가 부상하면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 어그부츠가 재유행했고, 세계적인 러닝 열풍으로 호카의 매출도 뛰었다. 전체 매출의 약 90%를 차지하는 이 두 브랜드의 ‘쌍끌이’에 힘입어 데커스아웃도어 매출은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지난달 30일 발표된 2025 회계연도 3분기(2024년 12월 마감) 실적도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1% 늘어난 18억2700만달러(약 2조6447억원)로 집계됐다. 스티븐 파싱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콘퍼런스콜에서 “지난 분기에 어그는 작년 대비 16%, 호카는 24% 매출이 늘었다”며 “이들의 인기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하지만 그 다음날인 31일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전날 종가인 223.11달러 대비 20.5% 내린 177.36달러로 뚝 떨어진 것이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최근 주가가 지나치게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우려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어그와 호카가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매출을 키워온 만큼 향후 이
이번주(10~14일) 월가에서 가장 주목하는 지표는 오는 12일 나오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다. 로이터에 따르면 1월 CPI는 전월 대비 0.3% 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0.4%)보다 둔화했을 것으로 전망된다.1월 고용보고서에서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달보다 0.5% 상승했는데, 이는 시장 전망치(0.3%)를 웃도는 결과다. 여기에 CPI마저 예상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관세 이슈도 챙겨봐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일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10일이나 11일 (상호 관세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것이다.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을 비롯해 Fed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도 예정돼 있다. 파월 의장은 11일과 12일 각각 상원과 하원에서 연설 일정이 잡혀 있다. 11일엔 베스 해맥 클리브랜드연방은행 총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 미셸 보먼 Fed 이사 등도 공개석상에 오른다.13일은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에 주목해야 한다.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발표도 있다. 14일에는 1월 소매판매가 기다리고 있다. 코카콜라(11일), 시스코(12일), 에어비앤비·코인베이스·유니레버·바클레이스(13일), 모더나(14일) 등이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뉴욕=박신영 특파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덕분에 중국 증시가 모처럼 활기를 되찾고 있다.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을 선보인 딥시크에 각국의 견제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지만 중국 증시에는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지난 7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1% 오른 3303.67에 장을 마쳤다. 휴장 기간 다양한 국제 이슈가 있었지만 주간 상하이종합지수는 상승세를 보였다. 춘제(중국 설) 연휴를 마치고 5일 증시가 다시 문을 열기 직전까지 투자자들의 우려는 컸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미국과 맞붙은 관세 전쟁을 우려하는 반응보다 딥시크로 확인된 중국의 혁신 가능성이 더 주목받았다. 특히 중국 AI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AI 관련주에 꾸준히 자금이 유입됐다. 금융사들은 앞다퉈 “올해 중국 AI산업이 번영기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이렇다 보니 2022년 이후 지지부진한 중국 증시가 올해 빠르게 정상화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딥시크 출현을 계기로 첨단 분야에서 미·중 격차가 축소되고, 중국 빅테크에 대한 투자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통신은 “딥시크가 글로벌 자금이 중국 증시로 돌아가는 데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국 업체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내놨지만 인정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10일에는 중국의 올 1월 신규 대출이 발표된다.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위안화 신규 대출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중국 당국은 적절히 완화적인 금융정책을 시행하고 자본시장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베이징=김은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