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신한증권은 향후 펼쳐질 변동성 장세에서 낙폭이 과대한 조선과 철강 등에 일차적인 관심이 유효하다고 제시했다. 반면 반도체와 자동차는 이익 실현 관점의 접근이 유리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 증권사 김중현 연구원은 24일 "시장은 의미있는 저점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향후 시장 흐름이 전개되는 모습은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근본적으로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본질적 리스크에 대한 해법들이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냐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내부적으로도 수급 여건의 개선 여부와 같은 변수를 통해 당분간 횡보 장세냐 혹은 반등 탄력의 가속화냐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수급의 개선이 쉽지 않아 당분간 뚜렷하게 반등의 탄력을 높이기보다는 등락수준의 변동성 장세가 연출될 것"이라며 "시장이 저점을 확인했다면 관심의 초점은 그에 대한 대응전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본적으로는 등락을 이용하는 분할매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되며 실적호조에도 불구하고 낙폭이 과대한 조선과 철강 등 산업재와 소재주에 대한 1차적인 관심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반면 급락장세에서 선조정 메리트로 틈새시장을 형성했던 반도체와 자동차주의 경우 시장의 저점확인과 더불어 틈새시장 메리트가 빠르게 소멸될 수 있는 개연성을 감안해 단기 이익실현 관점으로 접근하라고 김 연구원은 주장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