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채권시장 전반적 약세..변동성은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채권시장은 지속적인 금리 상승으로 전반적인 약세를 보인데다, 변동성이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외국인 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증권업협회가 집계·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통화긴축과 경기회복, 주식시장 활황과 美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따른 신용 경색 등으로 국내 채권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금리로 사용되는 CD금리가 지난 2001년 5월24일 이후 6년7개월만에 최고치인 5.82%를 기록하는 등 한해 동안 금리 상승 추세가 뚜렷히 나타났던 것으로 조사.
주식시장의 활황과 두차례의 콜금리 인상, 11월말 발생한 스왑시장의 혼란 등으로 연말로 갈수록 시장의 약세가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냈다.
한편 11월28일 일일 상승폭이 국고채 3년 기준 26bp로 2001년 3월7일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스왑 및 재정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금리 변동성은 매우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증협측은 "미국의 신용경색 영향과 외국계 은행의 달러차입 규제로 달러 차입비용이 상승, 스왑베이시스가 확대되며 상당한 재정거래 기회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채권 발행잔액별로는 은행권의 전반적인 자금 경색으로 금융채(은행채)의 발행이 크게 늘어난 반면, 국채 발행액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권 장외시장의 거래비중은 80.4%로 전년 대비 3.3%P 감소. 다만 최근 3개년도 거래비중은 평균 82.3%로 여전히 80% 이상을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량은 기관의 매수여력이 저하된 3~4분기 특히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시 금리를 고점으로 판단, 장기물을 집중 매수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달 들어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까지 상당한 폭의 이익을 실현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
24일 한국증권업협회가 집계·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통화긴축과 경기회복, 주식시장 활황과 美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따른 신용 경색 등으로 국내 채권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금리로 사용되는 CD금리가 지난 2001년 5월24일 이후 6년7개월만에 최고치인 5.82%를 기록하는 등 한해 동안 금리 상승 추세가 뚜렷히 나타났던 것으로 조사.
주식시장의 활황과 두차례의 콜금리 인상, 11월말 발생한 스왑시장의 혼란 등으로 연말로 갈수록 시장의 약세가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냈다.
한편 11월28일 일일 상승폭이 국고채 3년 기준 26bp로 2001년 3월7일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스왑 및 재정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금리 변동성은 매우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증협측은 "미국의 신용경색 영향과 외국계 은행의 달러차입 규제로 달러 차입비용이 상승, 스왑베이시스가 확대되며 상당한 재정거래 기회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채권 발행잔액별로는 은행권의 전반적인 자금 경색으로 금융채(은행채)의 발행이 크게 늘어난 반면, 국채 발행액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권 장외시장의 거래비중은 80.4%로 전년 대비 3.3%P 감소. 다만 최근 3개년도 거래비중은 평균 82.3%로 여전히 80% 이상을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량은 기관의 매수여력이 저하된 3~4분기 특히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시 금리를 고점으로 판단, 장기물을 집중 매수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달 들어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까지 상당한 폭의 이익을 실현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