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5일자) 삼성 LG 하이닉스 공동연구 기대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 등 경쟁관계에 있는 대기업들이 잇달아 공동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런 대기업 간 협력은 근래 보기 드물다는 점도 그렇지만,대상분야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소자,디스플레이(LCD)의 원천기술 개발 등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創出)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반도체의 경우 우리는 90년대 64M D램 개발 당시 국내업체들이 협력한 바 있고, 그 뒤 대기업들이 서로 경쟁하며 기술 진화를 더욱 앞당겨왔다.
협력과 경쟁이 지금의 반도체 신화를 만든 것이다.
반도체는 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우리의 성장동력 분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분야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 측면에서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소자 원천기술 분야에서 대기업 간 협력에 거는 기대가 크다.
시기적으로도 매우 잘된 일이다.
일본 기업들이 메모리 시장 탈환을 내세우며 정부와 힘을 합쳐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원천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가 LCD분야 원천기술 공동개발에 나선 것도 의미가 크다.
국내 기업들이 패널의 생산ㆍ매출에서 세계 1위라고 하지만 장비ㆍ재료 등 원천기술에선 일본기업들이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산업구조의 취약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협력은 대기업들뿐 아니라 장비ㆍ재료업체들까지 참여한,정확히 말하면 대-대-중소기업 공동연구사업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수요 대기업들과 장비ㆍ부품ㆍ소재 중소기업들이 이렇게 협력한다면 자본재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도 결코 어렵지 않은 일일 것이다.
사실 기업들 간 협력,즉 산-산(産産)협력은 산-학(産學), 산-연(産硏)협력 만큼이나 중요하지만 경쟁과 협력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는 선진국 기업들에 비해 우리는 이 부분이 취약하다.
이번 대기업 간 협력에는 정부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매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기업들이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하면 그만큼 성공가능성도 높아질 뿐 아니라 우리 경제의 가장 절실한 과제인 투자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형태의 모델을 다른 분야로도 적극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런 대기업 간 협력은 근래 보기 드물다는 점도 그렇지만,대상분야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소자,디스플레이(LCD)의 원천기술 개발 등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創出)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반도체의 경우 우리는 90년대 64M D램 개발 당시 국내업체들이 협력한 바 있고, 그 뒤 대기업들이 서로 경쟁하며 기술 진화를 더욱 앞당겨왔다.
협력과 경쟁이 지금의 반도체 신화를 만든 것이다.
반도체는 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우리의 성장동력 분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분야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 측면에서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소자 원천기술 분야에서 대기업 간 협력에 거는 기대가 크다.
시기적으로도 매우 잘된 일이다.
일본 기업들이 메모리 시장 탈환을 내세우며 정부와 힘을 합쳐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원천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가 LCD분야 원천기술 공동개발에 나선 것도 의미가 크다.
국내 기업들이 패널의 생산ㆍ매출에서 세계 1위라고 하지만 장비ㆍ재료 등 원천기술에선 일본기업들이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산업구조의 취약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협력은 대기업들뿐 아니라 장비ㆍ재료업체들까지 참여한,정확히 말하면 대-대-중소기업 공동연구사업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수요 대기업들과 장비ㆍ부품ㆍ소재 중소기업들이 이렇게 협력한다면 자본재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도 결코 어렵지 않은 일일 것이다.
사실 기업들 간 협력,즉 산-산(産産)협력은 산-학(産學), 산-연(産硏)협력 만큼이나 중요하지만 경쟁과 협력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는 선진국 기업들에 비해 우리는 이 부분이 취약하다.
이번 대기업 간 협력에는 정부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매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기업들이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하면 그만큼 성공가능성도 높아질 뿐 아니라 우리 경제의 가장 절실한 과제인 투자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형태의 모델을 다른 분야로도 적극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