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광주광역시 국제교류 자료실에서 열린 호남권 정책좌담회.한국경제신문이 이명박 정부가 발표한 '5+2 광역경제권 개발계획'에 맞춰 마련한 첫 번째 지역좌담회였다.

이날 좌담회에는 지역경제에 밝은 전문가 7명이 참석해 뜨거운 토론을 벌였다.

좌담시간은 당초 예정이던 2시간을 훌쩍 넘겼다.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은 해당지역에서 들어야 현실감이 있다는 지적대로 7명의 전문가들은 실천 가능한 대안을 내놓았다.

광주와 전남ㆍ북 공동 투자로 서남광역개발㈜을 설립하자는 아이디어는 신선했다는 평가다.

좌담회를 정리하면서 지방도 머리를 맞대면 광역개발을 할 수 있다는 지역 전문가들의 자신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동안 '천덕꾸러기' 대접을 받은 지방에도 전문가들이 아이디어를 내고 대통령이 밀어준다면 지금과 완전히 다른 지방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는 느낌이다.

광역개발을 위한 전제 조건인 지역 간 정서와 행정 통합의 움직임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은 또 하나의 성과였다.

그 예로 참석자들은 전남 영암과 해남이 J프로젝트를 매개로 뭉친 것과,국제공항이 들어선 무안과 목포가 힘을 합친 것,여수엑스포 유치를 계기로 여수 광양 순천이 통합 논의를 하고 있는 것을 들었다.

광주시와 전남도도 공동 혁신도시에 이어 공동 국가산단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는 것은 광역경제권 개발의 성공을 암시했다.

중앙정부에 대한 지방의 예산 지원 타령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도 참석자들은 지적했다.

참석자들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지방에 내려온 중앙정부 인사를 만날 때마다 "지방에 내려오면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런 기류가 크게 바뀌고 있다고 했다.

물론 지방은 아직도 중앙정부의 예산 지원이 필요할 만큼 열악하다.

하지만 지방의 글로벌화를 외치는 정부가 나타남에 따라 기대와 함께 자신감도 높아지고 있다는 느낌이다.

이번 좌담회는 그런 변화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명박 정부가 말뿐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지방을 발전시키길 바란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