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시.도로 나눠진 전국 지역경제권이 7대 광역권으로 재편된다.

우선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대구.경북) 동남권(부산.경남.울산) 등 5개 지역은 일반 산업 중심의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개발한다.

강원도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 특수성을 감안해 관광 등 '소프트' 산업 위주의 특별광역경제권으로 조성한다.

박형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위원은 24일 인수위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기존 시.도 행정구역을 초월해 광역경제권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이 같은 '5+2' 구상을 밝혔다.

박 위원은 "지역이 글로벌 체제에서 경쟁력을 높이려면 시.도의 경계를 넘어 광역경제권을 확보하는 게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광역경제권은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산업 교육 의료 문화 등 모든 기능을 결합한 인구 500만명 이상 규모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박 위원은 "지역별 인구 규모와 인프라,산업 집적도,역사.문화적 특수성,지역정서 등을 고려해 차별화한 발전전략을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광역경제권 개발을 위해 △광역경제권 연계사업 활성화 △규제개혁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인프라시설 확충 △낙후지역 역점 개발 △수도권과 지방의 공동 발전체제 형성 △협력.통합.분권적 광역경제권 제도 도입 등을 6대 전략으로 선정했다.

또 각 권역별로 '자율형 지역본부체제'를 구성,광역경제권 활성화와 민간자본 참여를 촉진하는 역할을 맡도록 할 방침이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