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은 29일 "기업들이 투자를 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기업 입장에서 높은 임금을 줘도 아깝지 않을 정도의 고급 인력을 키워내지 못하는 교육제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 전 총장은 이날 부산 센텀호텔에서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중.고교 교사 대상 강연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교육의 변화를 통해 사람들이 변하면 투자도 저절로 잘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 대상이 있어도 고급 기술을 가진 노동력이 부족해 투자에 적극 나서지 못한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정 전 총장은 "'대학이 쓸 만한 인력을 길러내지 못한다'는 기업들의 불만에 대해 누구보다 대학과 교수들이 부끄러워해야 할 것"이라며 "대학은 그야말로 가차없는 치열한 경쟁이 필요하고 본격적인 구조조정을 겪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의 다양성을 가로막는 최대 장애 요인은 정부"라며 "수능만으로 뽑든,내신만으로 뽑든,섞어서 뽑든 학생 선발은 대학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미 지역 간,도농 간의 학력 격차가 벌어질대로 벌어졌는데 획일적인 평등주의를 고집하는 것은 교육과 사회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만 낳는다"며 "중고교의 학군제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