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준씨의 `기획입국' 의혹을 수사범위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했던 정호영 특별검사팀이 결국 기획입국설을 수사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특검팀' 관계자는 30일 `기획입국설이 조사대상이냐'는 질문에 "짧은 기간에 그것까지 포함한다면 조사가 제대로 되겠냐"고 말했다.

그는 "특검법에 따라 관련 고소고발 사건을 모두 수사할 수 있지만 지금 걸려있는 사건만 해도 30여개다.

30일동안 다 불러 조사하기는 무리"라고 덧붙여 사실상 특검팀이 `기획입국'을 수사범위에서 제외했음을 시사했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관련된 모든 의혹을 풀어야 한다는 압박감이 크지만 최장 40일에 불과한 수사기간으로는 수사를 시작하더라도 끝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김경준씨의 입국 배경을 조사하고 있거나 조사할 가능성이 있는 검찰의 향후 행보도 감안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김경준씨와 미국 LA 구치소에 같이 수감돼 있다 송환된 신모씨를 수차례 소환해 한나라당이 수사의뢰한 김씨의 입국 배경을 조사하고 있다.

공안1부가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의 방북 대화록 유출 사건 수사에 착수하면서 국가정보원 관계자가 김씨 송환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수사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검팀으로서는 기획입국 수사여부를 미리 발표하기 보다는 서울중앙지검의 두 팀이 어떻게 수사상황을 정리할 지 지켜보는 쪽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검팀 안에서는 `이명박 특검법'이 당선인에 대한 의혹에 초점을 맞춘 것인 만큼 기획입국설 수사에 착수할 경우 법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고 수사 초점이 흐려진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특검팀은 수사가 시작된지 보름이 지난 지금까지도 대외적으로는 "기획입국설을 수사해야 하는지 내부에서 결정하지 못했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지연작전'을 통해 실질적으로 수사를 하지 않겠다는 속내를 갖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withwi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