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 국정원장 정보위 불출석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북 대화록 유출로 물의를 빚었던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이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의 출석 요청에도 불구하고 30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에 나오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김 원장 측은 이미 청와대에 사의를 표명한 상태인 데다 현안 보고의 내용이 현재 검찰에서 수사 중인 사안인 만큼 회의에 나가는 게 적절하지 않다며 정보위원들에게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나라당 의원들은 "사표가 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위 공직자가 국회의 정당한 출석 요구에 불응한 것은 임기 말 기강 해이"라고 비판했다.
박계동 의원은 "아무리 사의를 표명했더라도 대통령이 수리를 안한 상태면 공직자 아니냐"며 "기관장은 단 1분,1초도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법적 개념인데 김 원장은 기본적인 자질이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신당 정보위 간사인 선병렬 의원은 "행정부처의 장도 합당한 사유가 있으면 출석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현안은 각 차장들로부터 보고를 받으면 된다"고 말했다.
정보위는 이에 따라 국정원 차장들이 출석한 가운데 방북 대화록 유출 경위와 대선 전 방북 경위 및 목적 등에 대한 비공개 보고를 받았다.
한편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김 원장의 사표 수리와 관련,"사의 수용 여부는 검찰의 내사 결과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 같다"며 "설 연휴를 넘긴다거나 하는 시기에 대해 판단을 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강동균/이심기 기자 kdg@hankyung.com
김 원장 측은 이미 청와대에 사의를 표명한 상태인 데다 현안 보고의 내용이 현재 검찰에서 수사 중인 사안인 만큼 회의에 나가는 게 적절하지 않다며 정보위원들에게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나라당 의원들은 "사표가 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위 공직자가 국회의 정당한 출석 요구에 불응한 것은 임기 말 기강 해이"라고 비판했다.
박계동 의원은 "아무리 사의를 표명했더라도 대통령이 수리를 안한 상태면 공직자 아니냐"며 "기관장은 단 1분,1초도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법적 개념인데 김 원장은 기본적인 자질이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신당 정보위 간사인 선병렬 의원은 "행정부처의 장도 합당한 사유가 있으면 출석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현안은 각 차장들로부터 보고를 받으면 된다"고 말했다.
정보위는 이에 따라 국정원 차장들이 출석한 가운데 방북 대화록 유출 경위와 대선 전 방북 경위 및 목적 등에 대한 비공개 보고를 받았다.
한편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김 원장의 사표 수리와 관련,"사의 수용 여부는 검찰의 내사 결과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 같다"며 "설 연휴를 넘긴다거나 하는 시기에 대해 판단을 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강동균/이심기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