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기술경영시대] 한국기술교육대 기술경영대학원‥시장 분석ㆍ비즈니스 감각 강화 중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기술경영 프로그램(책임교수 김병근)은 학부와 대학원 CEO 과정을 연결하는 일관 통합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있다.
1999년 이후 8년간 산업경영학부 기술경영전공과정 운영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기술교육대는 산업의 요구에 부응해 2003년부터 기술경영전공 대학원 학위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 학교는 기술경영 학위과정에 필요한 기술 경영교재 개발 사업을 한국산업기술재단과 함께 진행했으며 기술전략 기술정책 기술자산관리 등의 교재를 개발하고 글로벌 경쟁력과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현실에 적합한 교과과정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의 특징은 기술경영의 핵심이 기술경영 기법의 습득과 적용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기술경영을 둘러싼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적절한 전략 수립에 있다.
이에 따라 시장과 비즈니스 감각을 강화할 수 있도록 경영학을 기반으로 사회과학과 공학 등을 통합,학제적인 교과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기술시장 성장과 기술전략,기술경영 사례연구 모형 개발 등의 자체 연구와 외부 수탁 연구를 수행했으며 10편 이상의 논문을 관련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학술 면에서도 활발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재 박사과정 11명,석사과정 92명을 선발했으며 학생들의 학부 전공 구성을 보면 경영학 등 사회과학 전공이 약 30%,이공계 전공이 약 70%를 이루고 있다.
학생들의 특성과 사정에 맞춰 전일제와 주말반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팀 티칭과 영어수업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이 중 약 70%를 차지하는 주말반은 기술경영 관련 주요 기업과 주요 기관을 포괄하고 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
1999년 이후 8년간 산업경영학부 기술경영전공과정 운영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기술교육대는 산업의 요구에 부응해 2003년부터 기술경영전공 대학원 학위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 학교는 기술경영 학위과정에 필요한 기술 경영교재 개발 사업을 한국산업기술재단과 함께 진행했으며 기술전략 기술정책 기술자산관리 등의 교재를 개발하고 글로벌 경쟁력과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현실에 적합한 교과과정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의 특징은 기술경영의 핵심이 기술경영 기법의 습득과 적용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기술경영을 둘러싼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적절한 전략 수립에 있다.
이에 따라 시장과 비즈니스 감각을 강화할 수 있도록 경영학을 기반으로 사회과학과 공학 등을 통합,학제적인 교과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기술시장 성장과 기술전략,기술경영 사례연구 모형 개발 등의 자체 연구와 외부 수탁 연구를 수행했으며 10편 이상의 논문을 관련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학술 면에서도 활발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재 박사과정 11명,석사과정 92명을 선발했으며 학생들의 학부 전공 구성을 보면 경영학 등 사회과학 전공이 약 30%,이공계 전공이 약 70%를 이루고 있다.
학생들의 특성과 사정에 맞춰 전일제와 주말반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팀 티칭과 영어수업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이 중 약 70%를 차지하는 주말반은 기술경영 관련 주요 기업과 주요 기관을 포괄하고 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