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자격 기준을 둘러싼 한나라당의 갈등이 전면적인 권력투쟁 양상으로 증폭되고 있다.

공천심사위원인 이방호 사무총장은 1일 강재섭 대표의 전날 사퇴요구에 대해 거부 입장을 밝히며 정면으로 치받았다.

반면 박근혜 전 대표 측은 집단탈당을 시사하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직접 사태 수습과 이 총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인명진 윤리위원장까지 나서 당헌·당규가 준수되지 않으면 위원장직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한나라당은 갈수록 수렁에 빠져드는 형국이다.

한나라당은 2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수습책을 논의한다.

◆전면적 치고받기

이 총장은 이날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어떤 경우라도 사퇴할 의사가 없다"며 강 대표의 요구를 일축했다.

그는 "충실하게 당무를 집행하고 있는 사무총장에게 일을 같이 못하겠다든지 하는 이야기는 대표로서 적절한 말씀이 아니다"며 "공당의 대표라면 사무실에 나와서 당당하게 기자회견을 할 일이지,야밤에 자택에서 회견하는 게 말이 되는가"라고 원색적인 공격을 서슴지 않았다.

전날 그를 '간신'에 비유한 강 대표를 정조준한 것이다.

이 총장은 "(부패 전력자에게 공천신청을 불허하는 3조2항) 당규는 지난해 국민에게 혹독한 비판을 받고 나서 강 대표가 주도해 새로 거듭 태어나겠다고 반성문 쓰듯이 만든 것"이라며 "이 당규를 지킬 사람은 바로 당 대표"라고 비난했다.

이 당선인측도 강 대표의 요구에 대해 "강 대표가 스스로 만든 쇄신안 때문에 문제가 생기자 면피를 위해 이 총장을 희생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 전 대표측 의원 28명과 원외당협위원장 42명 등 70명은 이날 긴급회동에서 △이 당선인의 직접 사태 수습△이 총장의 즉각 사퇴△선거법 위반 등도 공천신청자격 박탈에 포함시킬 것 등 3개항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 총장의 사퇴거부는 당 대표에 대한 한나라당 사상 초유의 하극상"이라며 "이 당선인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3가지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70명이 모두 단결해 행동을 통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싸움의 끝은

당 윤리위원회마저 공천갈등에 휘말렸다.

인명진 윤리위원장은 "3조2항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이 조항이 원칙대로 적용되지 않을 경우 윤리위원장직을 사퇴할 것 이라고 밝혔다.

벌금형을 받아 3조2항에 걸리는 김무성 최고위원에 대해 "살신성인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고 불출마를 요구했다.

공천갈등이 이처럼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지만 2일 긴급 소집된 최고위원회의가 사태해결의 기점이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가 1일 '부패전력자 공천신청 불허' 관련 당규를 탄력적으로 해석,벌금형 전력자도 공천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만약 이런 결정이 최고위원회의에서 추인되면 김 최고위원도 공천신청을 할 수 있게 돼 공천갈등이 수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