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이너 관심사 이제는 '지구 온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평소 대중문화나 예술,역사 등에서 영감을 얻던 패션 디자이너들이 이제 '지구 온난화'로 눈을 돌리고 있다.그 대표적인 예가 지난 1일 개막한 뉴욕 패션주간의 패션쇼 무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나 카란,트레이시 리즈,말로,바들리 미치카,피터 솜 등 해외 유명 디자이너들은 올가을 신상품을 선보이는 자리에서 두꺼운 스웨터나 모피가 아닌 레이스,시폰 등 봄 시즌에나 등장할 법한 가벼운 소재의 옷들을 내놓았다.
또 날씨가 예상외로 따뜻할 경우 옷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얇은 옷 여러 벌을 겹쳐 입는 '레이어드 룩'도 눈길을 끌었다.
이 같은 변화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날씨 예측이 점점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실제로 지난 2년간은 가을 날씨가 지나치게 따뜻해 9~10월에 두꺼운 옷의 판매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패션업계에서는 '4계절용 의복' 개념이 확산돼 왔으며 리즈 클레이본 등 일부 여성복 업체에서는 옷을 디자인할 때 기후학자의 조언을 구하는 등 날씨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나 카란,트레이시 리즈,말로,바들리 미치카,피터 솜 등 해외 유명 디자이너들은 올가을 신상품을 선보이는 자리에서 두꺼운 스웨터나 모피가 아닌 레이스,시폰 등 봄 시즌에나 등장할 법한 가벼운 소재의 옷들을 내놓았다.
또 날씨가 예상외로 따뜻할 경우 옷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얇은 옷 여러 벌을 겹쳐 입는 '레이어드 룩'도 눈길을 끌었다.
이 같은 변화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날씨 예측이 점점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실제로 지난 2년간은 가을 날씨가 지나치게 따뜻해 9~10월에 두꺼운 옷의 판매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패션업계에서는 '4계절용 의복' 개념이 확산돼 왔으며 리즈 클레이본 등 일부 여성복 업체에서는 옷을 디자인할 때 기후학자의 조언을 구하는 등 날씨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