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붕괴된 숭례문의 목재와 기왓장 등 훼손 부재의 보존에 비상이 걸렸다.

14일 전통 문양이 있는 기와를 포함해 숭례문의 훼손 부재 일부가 서울 은평구 수색동 폐기물 처리장에서 발견됐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문화재청은 폐자재의 현장 방출을 중단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소방용수 사용으로 인한 건물의 2차 붕괴 방지에 필요한 가설 비계 설치 및 재사용 부재 적재 장소 확보를 위해 199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사용한 기와 등 최소한의 폐자재를 외부로 반출했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부재 처리에 신중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문화재 전문가들은 화재 현장에 남은 잔해들을 매우 신중하게 처리해야 하며 사용할 수 없는 부재도 문화재라는 생각으로 철저히 보존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고건축 전문가인 윤홍로 문화재위원은 "작은 부재 하나라도 신중하게 반출되도록 해야 한다"며 "불 탄 부재도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만큼 소중히 보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장에 있는 부재 중 쓸 수 있는 부재는 활용하고 그렇지 않은 부재도 박물관 등에 전시해 교육적으로 활용하자는 것이 문화재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전했다.

김홍식 명지대 교수(문화재위원)도 "발빠른 사고 수습과 '흉물'을 치우듯이 훼손 부재를 처리해선 안 된다"며 "전통 건축물이 화재를 만났을 때 어떤 부재가 어떠한 피해를 얼마나 보고,어느 방향으로 붕괴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을 파악해 기록에 남겨야 한다"고 말했다.

목재 전문가인 박원규 충북대 교수는 "이미 숯으로 변한 목재라도 연륜연대 측정이 가능하므로 성분과 연대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지적에 따라 문화재청은 "현장에 문화재위원과 문화재청 직원을 고정 배치해 반출을 차단하고 있다"며 "훼손 부재 수거 및 선별 작업을 더욱 신중하고 엄격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수습한 부재는 장력 검사 등을 통해 재사용 여부를 신중하게 가리고 재사용할 수 없는 부재는 별도의 보관장소를 정해 향후 전시ㆍ학술연구 목적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