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형 펀드 '3社 3色'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정자산에 한정하지 않고 시장 상황에 따라 매력적이라고 판단되는 자산을 수시로 바꿔가며 집중투자하는 자산배분형 펀드가 잇따르고 있다.
미래에셋의 '인사이트펀드'에 이어 출시된 삼성투신의 '삼성글로벌자산배분펀드',KTB자산운용의 '엑스퍼트펀드'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펀드는 운용 스타일이 기존 펀드들에 비해 매우 공격적인 것이 공통점이다.따라서 펀드매니저들의 시장상황 대응 능력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다.대응을 잘하면 오히려 하락장에서도 이익을 낼 가능성도 있다.
자산배분형 펀드의 원조격인 미래에셋 '인사이트'와 KTB자산운용의 '엑스퍼트'는 특히 투자대상 자산 비중 조절이 파격적이다.가령 투자대상인 주식과 채권에 대한 비중을 적게는 0%에서부터 많게는 100%까지 가져갈 수 있다.만약 주식시장이 극도로 불안해 장기침체가 우려된다면 주식 비중을 '제로(0)'까지 낮출 수도 있다는 얘기다.
투자대상 자산 범위는 '인사이트'가 넓다.일단 국내 주식 및 채권뿐 아니라 글로벌 주식과 채권,부동산 등 거의 모든 자산을 대상으로 한다.미래에셋 설명대로라면 특정자산이나 지역 및 섹터에 한정하지 않는 국내 최초 '글로벌 스윙 펀드'다.
이에 비해 '엑스퍼트'는 국내 주식과 채권으로 투자대상을 한정하고 있다.확실히 아는 자산에 집중투자하겠다는 게 KTB 측 설명이다.
삼성투신의 '글로벌자산배분'은 두 펀드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다.글로벌 주식과 채권 및 리츠에 적극적으로 자산을 배분하되 편입비중을 과감하게 가져가지는 않는다.예컨대 성장형의 경우 글로벌 주식 50% 이하,글로벌 채권 20% 이상,글로벌 리츠 30% 이하로 기준을 정해두고 있다. 위험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수수료(연간보수 포함)는 '인사이트'가 가장 높고 '엑스퍼트'가 가장 싸다.수익률은 '인사이트'의 경우 설정 이후 ―19.78%(14일 기준)이며 '삼성글로벌자산배분'은 설정이후 ―6.14%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미래에셋의 '인사이트펀드'에 이어 출시된 삼성투신의 '삼성글로벌자산배분펀드',KTB자산운용의 '엑스퍼트펀드'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펀드는 운용 스타일이 기존 펀드들에 비해 매우 공격적인 것이 공통점이다.따라서 펀드매니저들의 시장상황 대응 능력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다.대응을 잘하면 오히려 하락장에서도 이익을 낼 가능성도 있다.
자산배분형 펀드의 원조격인 미래에셋 '인사이트'와 KTB자산운용의 '엑스퍼트'는 특히 투자대상 자산 비중 조절이 파격적이다.가령 투자대상인 주식과 채권에 대한 비중을 적게는 0%에서부터 많게는 100%까지 가져갈 수 있다.만약 주식시장이 극도로 불안해 장기침체가 우려된다면 주식 비중을 '제로(0)'까지 낮출 수도 있다는 얘기다.
투자대상 자산 범위는 '인사이트'가 넓다.일단 국내 주식 및 채권뿐 아니라 글로벌 주식과 채권,부동산 등 거의 모든 자산을 대상으로 한다.미래에셋 설명대로라면 특정자산이나 지역 및 섹터에 한정하지 않는 국내 최초 '글로벌 스윙 펀드'다.
이에 비해 '엑스퍼트'는 국내 주식과 채권으로 투자대상을 한정하고 있다.확실히 아는 자산에 집중투자하겠다는 게 KTB 측 설명이다.
삼성투신의 '글로벌자산배분'은 두 펀드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다.글로벌 주식과 채권 및 리츠에 적극적으로 자산을 배분하되 편입비중을 과감하게 가져가지는 않는다.예컨대 성장형의 경우 글로벌 주식 50% 이하,글로벌 채권 20% 이상,글로벌 리츠 30% 이하로 기준을 정해두고 있다. 위험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수수료(연간보수 포함)는 '인사이트'가 가장 높고 '엑스퍼트'가 가장 싸다.수익률은 '인사이트'의 경우 설정 이후 ―19.78%(14일 기준)이며 '삼성글로벌자산배분'은 설정이후 ―6.14%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