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금융위원장 여전히 안개속 ‥ 김석동 차관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명박 정부 첫 각료들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지만 초대 금융위원장은 여전히 짙은 안개 속이다.금융위원회는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과 금융감독위원회가 합쳐지는 막강 부처인데도 하마평만 무성할 뿐 유력한 후보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당초 당선인의 뜻에 따라 민간 금융전문가 중에서 초대 위원장을 찾아 왔으나 여의치 않자 최근 들어 관료까지 포함시켜 인선작업을 벌여왔다.이 과정에서 한때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과 김석동 재정경제부 차관으로 압축되기도 했다.하지만 어 전 총장이 교육과학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추가로 안선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인수위 관계자는 "계속 적임자를 찾으라는 당선인의 지시에 따라 경륜과 능력을 갖춘 금융 인사를 물색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로선 김석동 차관이 유력한 가운데 백용호 인수위 전문위원(이대 교수)도 꾸준히 거명되고 있다.김 차관은 금융 위기 관리 능력이 탁월한 데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와 옛 재무부.재경원 시절 함께 호흡을 맞춰온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백 교수는 충남 보령 출신이어서 지역 안배카드로 활용할 수 있고 민간 출신을 등용한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인수위에서는 황영기 전 우리금융 회장(현 인수위 자문위원)도 유력한 후보로 검토했지만 삼성 특검 때문에 일단 배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이 밖에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도 후보군에 들어 있다.
최근 들어선 재경부와 금감위의 전.현직 관료들도 후보군에 포함시켜 저울질하고 있다.김용덕 현 금감위원장은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규제개혁의 연속성을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연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윤증현 전 금감위원장도 본인은 고사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당선인의 신임이 두터운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도 일각에서 발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윤 전 장관은 이번 입각 대상자에서 제외돼 총선에 출마할 예정이었다.이 외에 권태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나 진동수 전 재경부 차관 등도 간간이 후보군에 오르내르고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당초 당선인의 뜻에 따라 민간 금융전문가 중에서 초대 위원장을 찾아 왔으나 여의치 않자 최근 들어 관료까지 포함시켜 인선작업을 벌여왔다.이 과정에서 한때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과 김석동 재정경제부 차관으로 압축되기도 했다.하지만 어 전 총장이 교육과학부 장관에 내정되면서 추가로 안선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인수위 관계자는 "계속 적임자를 찾으라는 당선인의 지시에 따라 경륜과 능력을 갖춘 금융 인사를 물색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로선 김석동 차관이 유력한 가운데 백용호 인수위 전문위원(이대 교수)도 꾸준히 거명되고 있다.김 차관은 금융 위기 관리 능력이 탁월한 데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와 옛 재무부.재경원 시절 함께 호흡을 맞춰온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백 교수는 충남 보령 출신이어서 지역 안배카드로 활용할 수 있고 민간 출신을 등용한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인수위에서는 황영기 전 우리금융 회장(현 인수위 자문위원)도 유력한 후보로 검토했지만 삼성 특검 때문에 일단 배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이 밖에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도 후보군에 들어 있다.
최근 들어선 재경부와 금감위의 전.현직 관료들도 후보군에 포함시켜 저울질하고 있다.김용덕 현 금감위원장은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규제개혁의 연속성을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연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윤증현 전 금감위원장도 본인은 고사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당선인의 신임이 두터운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도 일각에서 발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윤 전 장관은 이번 입각 대상자에서 제외돼 총선에 출마할 예정이었다.이 외에 권태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나 진동수 전 재경부 차관 등도 간간이 후보군에 오르내르고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