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이명박 정부의 '자원 외교' 방침에 따라 자원 부유국으로 재외 공관을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공관이 없는 곳엔 새로 만들고 있는 곳엔 인력을 늘릴 계획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15일 "자원 외교를 강화하기 위해 재외 공관을 늘릴 계획이며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이 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 당국자는 "해외 근무 인력의 재배치도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우선 검토 중인 곳은 아프리카 카메룬이다.카메룬은 외교부가 이미 행정자치부 기획예산처와 협의를 하고 있어 상반기 내 대사관이 부활될 전망이다.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스탄,아프리카 콩고,중남미 볼리비아에도 연내에 대사관을 만드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카메룬은 원유,볼리비아는 가스가 많이 나지만 정부가 외환위기 때 공관을 닫은 후로 관계가 소원해졌다.키르기스스탄과 콩고에는 현재 1인 공관이 있으며 정식 대사관으로 승급될 예정이다.

정부가 이들 나라에 대사관을 만들려는 이유는 수입원을 다변화한다는 취지도 있지만 기업들이 유전,가스 광구,광산 개발에 참여하게 해 전략적 거점을 넓히기 위해서다.특히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점에서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전 세계에 대사관 104개와 총영사관 39개,대표부 3개 등 146개의 공관을 두고 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