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과 함께하는 알기쉬운 경제] 해외 자원봉사 사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러 유조선 침몰ㆍ동남아 쓰나미때 비정부기구ㆍ개인 등 지원 잇따라
사람의 실수나 자연의 거대한 힘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고통당할 때 태안 반도에서와 같은 대규모 자원봉사 활동이 해외에서도 있었다.
1997년 1월 러시아 유조선 나홋카 호가 침몰해 일본 후쿠이현 미쿠니 지역 해안이 중유로 오염되는 사고가 발생했다.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는 우려가 확산되자 자원봉사자들이 대거 몰렸고 결국 3~4개월 만에 유출된 기름을 대부분 제거했다.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연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쓰나미가 인도네시아 태국 스리랑카 인도의 해안 지역을 덮쳤다.이로 인해 15만7000명가량의 사망자와 200만명 정도의 이재민이 생겼다.이 때도 각국 정부는 물론 비(非)정부기구에서 지원이 잇따랐고 사비를 털어 구호 활동에 나선 자원봉사자들도 많았다.
이 같은 대규모 활동은 아니지만 우리 주변에서도 남을 돕는 행동을 자주 접할 수 있다.매년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게 좋은 예다.또 1988년부터 시작된 '밥퍼 나눔운동'에선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일요일을 제외한 주 6일 내내 무료 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사람의 실수나 자연의 거대한 힘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고통당할 때 태안 반도에서와 같은 대규모 자원봉사 활동이 해외에서도 있었다.
1997년 1월 러시아 유조선 나홋카 호가 침몰해 일본 후쿠이현 미쿠니 지역 해안이 중유로 오염되는 사고가 발생했다.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는 우려가 확산되자 자원봉사자들이 대거 몰렸고 결국 3~4개월 만에 유출된 기름을 대부분 제거했다.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연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쓰나미가 인도네시아 태국 스리랑카 인도의 해안 지역을 덮쳤다.이로 인해 15만7000명가량의 사망자와 200만명 정도의 이재민이 생겼다.이 때도 각국 정부는 물론 비(非)정부기구에서 지원이 잇따랐고 사비를 털어 구호 활동에 나선 자원봉사자들도 많았다.
이 같은 대규모 활동은 아니지만 우리 주변에서도 남을 돕는 행동을 자주 접할 수 있다.매년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게 좋은 예다.또 1988년부터 시작된 '밥퍼 나눔운동'에선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일요일을 제외한 주 6일 내내 무료 급식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