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위원 내정자 포함" 발표 3시간 만에 '없던일로'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까지 불과 10일을 남겨놓고 대통령직인수위의 '헛발질'이 잇따르고 있다.

인수위는 16일과 17일 이틀간 이 당선인,청와대 수석 내정자,국무위원 내정자들이 참석해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워크숍을 갖는다고 15일 오후 발표했다가 3시간 만에 일정을 수정하는 어설픈 모습을 보였다.

정부조직 개편안 협상을 둘러싸고 벼랑끝 대치를 보이는 가운데 국무위원 내정자를 이틀간의 공개행사에 참석시킴으로써 통합민주당(가칭)을 압박하려던 당초의 의도에서 한발 물러서 이들은 불참토록 한 것이다.물론 17일 국무위원의 참석가능성은 열어놨다.통합민주당의 강력한 반발에 주춤했거나,아니면 협상 주체인 당과 손발이 맞지 않았다는 추론이 가능하다.인수위 측이 협상시한을 3일을 추가로 제시했던 것도 당의 협상력을 떨어뜨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수위의 '아마추어적' 행보는 비단 이번만이 아니다.지난달 17일에는 산업평화정책 태스크포스 구성 방침을 발표했다가 불과 2시간 만에 철회했다.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드는 불법.폭력 집단행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검찰과 경찰,노동부가 협력한다는 게 골자였으나 '신공안 정국 조성'이라는 일부 언론의 비판을 의식한 것이다.

인수위 실무분과와 공보라인,정부와의 정책조율 과정이 삐그덕 거리기도 했다.지난달 3일 설익은 신용불량자 구제 대책을 내놓았다가 하루 지나서 뒤집었다.장수만 경제1분과 전문위원이 신용불량자 구제 방안에 대해 "(대출)원리금을 전혀 상환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는데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으나 다음 날 강만수 경제1분과 간사는 "원금 탕감은 처음부터 생각한 바가 없다"고 180도 선회했다.

인수위의 발표 내용을 부처가 부인한 사례까지 있었다.인수위 측은 지난달 13일 상반기 중 북한 핵폐기 일정을 합의하고 2010년까지 핵폐기를 마무리한다는 내용의 '비핵화 추진계획'을 정부로부터 보고받았다고 발표했으나 외교부가 이를 부인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