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5년간 전국 땅값이 23.7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1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 동안 전국 땅값은 매년 3~5%가량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 출범 첫해인 2003년 3.43%로 안정세를 보인 후 매년 오름폭이 커져 2006년에는 5.61% 상승하는 등 5년간 총 23.7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지가 상승률은 노태우 정부(222.58%)보다는 훨씬 낮지만 김영삼 정부(-6.24%)와 김대중 정부(-1.14%)에 비해 높은 편으로 조사됐다.

10여년간 안정세를 보이던 땅값이 노무현 정부 들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뉴타운 신도시 등 국토 균형 발전을 내세우며 추진한 대형 개발사업 때문으로 풀이된다.

광역시ㆍ도별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개발 열기가 뜨거웠던 충남이 36.48%로 1위를 기록했다.서울(34.91%)과 경기(29.09%) 인천(24.15%) 등 수도권만 전국 평균을 넘었다.

시ㆍ군ㆍ구별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이 2004년과 2005년 각각 23.33%와 27.71% 오르는 등 5년간 무려 187.8% 올라 전국 1위를 차지했다.이 기간 전국 땅값 상승률은 각각 3.86%와 4.98%에 그쳤다.공주군은 51.69% 상승했다.

서울에서는 민족공원,용산 역세권,뉴타운 등 각종 개발 호재가 잇따른 용산구가 55.52% 올라 1위를 차지했다.

용산구 땅값은 2005년부터 매년 10% 이상 올랐다.성동구도 왕십리 뉴타운,지하철 분당선 연장,민자역사 개발,뚝섬 상업지역 개발 등의 호재로 46.4% 상승했다.

반면 강남(35.95%) 송파(37.55%) 서초(37.27%) 등 강남 3구는 강력한 투기 방지책이 집중되면서 서울 전체 땅값 상승률(34.91%)과 별 차이가 없었다.

땅값 상승은 막대한 보상비로 이어졌다.노무현 정부 5년 동안 신도시,도로 등 각종 공익사업으로 풀린 보상금은 98조4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이는 김영삼 정부의 2.2배,김대중 정부의 2.6배 수준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