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월드컵 전초전 1대1 무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허정무호가 30개월 만의 남북축구맞대결에서 다 잡은 듯한 승리를 놓쳤다.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20일 중국 충칭 올림픽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08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북한과 2차전에서 전반 염기훈의 프리킥 선제골로 앞서 갔지만 후반 북한의 공격 첨병 정대세에게 뼈아픈 동점골을 허용해 1-1로 비겼다.
지난 17일 중국전에서 3-2 재역전승을 거둔 허정무호는 1승1무(승점4)가 돼 앞서 중국을 꺾고 첫 승을 올린 일본(1승1무)과 같아졌지만 다득점에서 앞서 1위를 지켰다.
한국은 23일 일본과 3차전에서 대회 우승컵을 다투게 됐다.
일본전 무승부에 이어 2무(승점2)가 된 북한은 23일 중국전에서 2골차 이상 이기고 한일전이 무승부로 끝날 경우 우승할 수 있다.
후반 초반 북한 수비수 박철진이 퇴장당해 수적 우위를 점하고도 승리를 지켜내지 못해 아쉬움을 남긴 한 판이었다.
박주영이 근육통으로 빠진 공격진은 후반 결정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포백(4-back) 수비라인은 북한의 역습 한 방에 무너지며 불안감을 노출했다.
허정무호는 다음달 26일 평양에서 펼쳐질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아시아3차 예선 2차전을 앞둔 남북대결 전초전에서 기선을 잡는데도 실패했다.
한국은 북한과 역대 전적에서 5승4무1패를 기록했다.
2005년 8월 전주에서 열린동아시아선수권대회 0-0 무승부 이후 2년6개월 만의 남북축구 맞대결은 다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채 마감됐다.
전반 20분 선제골의 주인공은 ‘왼발 스페셜리스트’ 염기훈이었다.
염기훈은 수비 둘 사이를 방향 전환으로 돌아 돌파하다 프리킥을 끌어냈다.
아크 오른쪽 뒤 프리킥. 염기훈의 왼발 인스텝 슛은 골문 왼쪽 구석 끝으로 빨려들어갔다.
골라인 앞에서 바운드되면서 골문 안쪽 옆그물을 세차게 휘감았다.
후반 초반 북한에 악재가 겹쳤다.
수비수 박철진이 볼을 멀리 던져 프리킥 시간을 지연하는 공격 방해행위로 두 번째 옐로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수적 우위를 점한 한국은 공세의 수위를 높였지만 결정력이 부족했다.
후반 14분 정대세의 논스톱 터닝슛이 골 포스트를 살짝 빗나가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기 시작했고 20분에도 골키퍼가 골문을 비운 사이 수비수 리광천에게 중거리슛을 허용했다.
결국 북한이 자랑하는 골잡이 정대세에게 통한의 한 방을 내줬다.
후반 27분 공격 지향적으로 치고 올라갔던 포백 라인이 로빙패스가 올라오자 순식간에 구멍이 뚫렸고 정대세는 특유의 스피드를 살려 먹잇감을 쫓듯 돌진했다.
시야가 열린 정대세는 끈질기게 따라붙는 곽태휘와 강민수를 따돌리고 정확한 오른발 슈팅으로 골문을 뚫었다.
볼은 골 포스트에 맞고 굴절돼 그물을 출렁였다.
후반 막판 허정무호의 찬스가 있었지만 끝내 골문이 열리지 않았다.
염기훈의 프리킥이 벽에 맞았고 35분과 후반 인저리타임 염기훈과 이근호가 회심의 슈팅을 때렸지만 골키퍼 리명국에게 막혔다.
<연합뉴스>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20일 중국 충칭 올림픽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08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북한과 2차전에서 전반 염기훈의 프리킥 선제골로 앞서 갔지만 후반 북한의 공격 첨병 정대세에게 뼈아픈 동점골을 허용해 1-1로 비겼다.
지난 17일 중국전에서 3-2 재역전승을 거둔 허정무호는 1승1무(승점4)가 돼 앞서 중국을 꺾고 첫 승을 올린 일본(1승1무)과 같아졌지만 다득점에서 앞서 1위를 지켰다.
한국은 23일 일본과 3차전에서 대회 우승컵을 다투게 됐다.
일본전 무승부에 이어 2무(승점2)가 된 북한은 23일 중국전에서 2골차 이상 이기고 한일전이 무승부로 끝날 경우 우승할 수 있다.
후반 초반 북한 수비수 박철진이 퇴장당해 수적 우위를 점하고도 승리를 지켜내지 못해 아쉬움을 남긴 한 판이었다.
박주영이 근육통으로 빠진 공격진은 후반 결정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포백(4-back) 수비라인은 북한의 역습 한 방에 무너지며 불안감을 노출했다.
허정무호는 다음달 26일 평양에서 펼쳐질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아시아3차 예선 2차전을 앞둔 남북대결 전초전에서 기선을 잡는데도 실패했다.
한국은 북한과 역대 전적에서 5승4무1패를 기록했다.
2005년 8월 전주에서 열린동아시아선수권대회 0-0 무승부 이후 2년6개월 만의 남북축구 맞대결은 다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채 마감됐다.
전반 20분 선제골의 주인공은 ‘왼발 스페셜리스트’ 염기훈이었다.
염기훈은 수비 둘 사이를 방향 전환으로 돌아 돌파하다 프리킥을 끌어냈다.
아크 오른쪽 뒤 프리킥. 염기훈의 왼발 인스텝 슛은 골문 왼쪽 구석 끝으로 빨려들어갔다.
골라인 앞에서 바운드되면서 골문 안쪽 옆그물을 세차게 휘감았다.
후반 초반 북한에 악재가 겹쳤다.
수비수 박철진이 볼을 멀리 던져 프리킥 시간을 지연하는 공격 방해행위로 두 번째 옐로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수적 우위를 점한 한국은 공세의 수위를 높였지만 결정력이 부족했다.
후반 14분 정대세의 논스톱 터닝슛이 골 포스트를 살짝 빗나가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기 시작했고 20분에도 골키퍼가 골문을 비운 사이 수비수 리광천에게 중거리슛을 허용했다.
결국 북한이 자랑하는 골잡이 정대세에게 통한의 한 방을 내줬다.
후반 27분 공격 지향적으로 치고 올라갔던 포백 라인이 로빙패스가 올라오자 순식간에 구멍이 뚫렸고 정대세는 특유의 스피드를 살려 먹잇감을 쫓듯 돌진했다.
시야가 열린 정대세는 끈질기게 따라붙는 곽태휘와 강민수를 따돌리고 정확한 오른발 슈팅으로 골문을 뚫었다.
볼은 골 포스트에 맞고 굴절돼 그물을 출렁였다.
후반 막판 허정무호의 찬스가 있었지만 끝내 골문이 열리지 않았다.
염기훈의 프리킥이 벽에 맞았고 35분과 후반 인저리타임 염기훈과 이근호가 회심의 슈팅을 때렸지만 골키퍼 리명국에게 막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