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가요계에선 그룹의 멤버 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SES가 3명,핑클이 4명이었지만 동방신기·원더걸스처럼 5명은 기본이다.

소녀시대에서 9명으로 불어났고,슈퍼주니어(약칭 슈주)에 이르러선 멤버 수가 무려 13명에 달한다.

그런데 슈주는 참 이상하다.

솔로가수인 이효리나 보아는 혼자 뛰면서 돈도 잘 번다. 이효리는 지난 10년간 벌어들인 매출이 400억원에 달한다고 소속사는 밝혔다.

슈주는 넉넉지 않은 방송 출연료를 13명이 나눠야 한다(한 사람 몫은 얼마나 될까?).
슈주를 유지하려면 비용도 많이 든다.

13명을 다 모으기도 쉽지 않고(혹 누가 아프기라도 하면…),이동할 때 매니저 코디들까지 합치면 거의 소대 병력인지라 중형버스는 되어야 할 테고.

매끼 식사비만도 장난이 아닐 텐데….

그렇다면 기획사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13명짜리 대그룹을 만들었을까?

오늘은 '슈퍼주니어의 경제학'을 통해 많거나 클수록 이익인 경우(규모의 경제)와 적더라도 폭이 넓으면 이익이 되는 경우(범위의 경제)를 알아보자.


⊙ 규모의 경제 vs 범위의 경제

'경제' 수업을 듣는 고교생이면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와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 정도는 다 알 테지만 안 듣는 친구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해 보자.

쉽게 말해,설렁탕 한 가지만 파는 식당이 대형 건물에 주차장까지 갖추었다면 규모의 경제를 노린 것이고,라면과 만두만 팔던 분식점이 메뉴로 만두라면,떡만두국을 추가했다면 범위의 경제를 겨냥한 것이다.

규모의 경제는 많이 생산할수록 평균 생산비(제품 한 개당 원가)가 낮아지는 경우이고,범위의 경제는 한 제품으론 비용을 못 뽑지만 시장이나 사용 범위 등을 널리 확장해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경우를 뜻한다.

이때 '경제'라는 말은 이득이 생긴다는 뜻이다.

즉,규모의 경제는 규모가 클수록 이득이고 범위의 경제는 범위가 넓을수록 이득이란 얘기다.

또 기업의 전문화·대형화는 규모의 경제,사업 다각화는 범위의 경제로 볼 수 있다.

기업 간 합병이나 최근 정부 조직개편을 통한 부처 통폐합도 규모의 경제를 지향하는 것이다.


⊙ 코카콜라와 LCD

기업의 생산품은 대개 규모의 경제를 갖는다.

자동차회사가 자동차를 몇 백 대 만들려고 공장을 짓지는 않을 것이다.

도요타나 현대자동차는 수백만 대를 만들어 팔아야 이윤을 낼 수 있는 규모이다.

코카콜라 같은 대량 생산제품의 경우 한 병이라도 더 만들어 파는 것이 이득이다.

한마디로 크고 많은 게 좋은 것이다.

반면 범위의 경제에서는 한 아이템을 자동차나 콜라만큼 많이 팔 수는 없지만 활용 범위를 확대하면 규모의 경제에 버금가는 이득을 낼 수 있다.

즉,여러 제품을 생산하는 데 '공통된 투입 요소'가 있을 때 생산 제품의 종류를 확대할수록 유리해진다.

예컨대 GE가 소형 전기모터를 개발해 조리기에 적용한 데 이어 헤어드라이어 선풍기 청소기 믹서 등으로 사용 범위를 넓혀 모터 생산비를 낮춘 사례를 보면 이해가 쉽다.

카지오의 액정화면은 계산기부터 전자시계,전자수첩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LCD 기술도 일반 컴퓨터 모니터부터 노트북,휴대폰,PMP,MP4 등으로 확장되면서 LG필립스LCD 같은 LCD 전문 생산업체가 생겨난 것이다.


⊙ 슈퍼주니어의 경제학

다시 슈주로 돌아가 보자.

슈퍼주니어는 기획사에 의해 탄생한 아이돌그룹이다.

여기엔 철저히 계산된 경제원리가 숨어 있다.

기획사 입장에서 우선 숫자가 많으니 멤버들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팬들을 끌어모을 수 있다.

13명의 미소년들은 제각기 가창력,춤,연기력,말재주,뛰어난 운동능력 등의 개인기를 한두 개쯤은 갖고 있다.

팬들은 취향에 따라 특정 멤버를 점찍어 좋아할 수도 있고,여러 명 또는 전체에 열광한다.

게다가 중국인 멤버까지 포함시켰으니 중국 팬들을 확보하기도 유리하다.

또 TV 프로그램 성격에 맞춰 13명의 멤버를 몇 팀으로 나눠 여러 군데 출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슈주의 대식구는 경제용어로 설명하면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동시에 꾀하는 것이다.

13명의 멤버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은 솔로가수보다 훨씬 클 테지만,이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을 합치면 전체 파이를 키워 충분히 수지타산을 맞출 수 있다.

더 많이,더 넓게,더 다양하게 멤버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멤버 개개인이 솔로 가수보다 더 벌지는 못하겠지만…).

여러분이 좋아하는 슈주도 그렇듯이 세상만사는 이렇듯 경제원리에 파묻혀 감춰진 부분이 많다.

그 밑뿌리까지 들여다 볼 수 있는 눈을 기른다면 논술이 뭐 대수이겠는가.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