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신한증권은 21일 낙폭과대주로 매매대상을 압축하되 이익실현을 병행해 현금비중을 확보하는 전략을 당분간 유지하라고 권했다.

이 증권사 김중현 연구원은 "미국 모노라인 문제는 막판까지 은행들과 채권보증사들 사이의 기싸움이 팽팽하지만 누구도 원하지 않는 파국으로 치닫기보다는 어떤 형태로든 타협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모든 문제가 좋은 방향으로 해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과 시장에서 직접적인 대응에 나서는 것은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모든 문제들이 기대하는 만큼 좋게만 해결되리라고 담보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아무리 낮은 확률이라 하더라도 부정적 시나리오가 전개됐을 경우 시장참여자들이 감내해야 하는 리스크는 현 시점에서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아직까지 시장대응은 추세를 겨냥한 적극적인 접근보다는 단기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소극적인 접근에 국한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며 "이런 대응이 반등의 초기 수익률에 부정적일 수는 있지만 지금은 불확실성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에 무게중심을 두는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지난해 연말의 고점대비 하락률이 높은 낙폭과대주를 중심으로 관심대상을 좁게 가져가는 한편 최근 반등폭이 높았던 경우는 이익실현을 병행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제시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