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법대출 남발 … 연체율 40% 웃돌아

중형 저축은행인 분당저축은행이 감독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 명령을 받은 것은 대출부실 증가로 부채가 자산보다 많아진 데다 자기자본비율(BIS)이 기준치를 밑돌았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외형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에 대한 신용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부실이 커졌다"고 말했다.저축은행업계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영향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불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영업정지로 업계 이미지에 타격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분당저축은행은 부동산 PF 비중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불법대출이 부실원인

금융감독원 검사에서 분당저축은행 부실의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동일인 한도 초과대출 △휴ㆍ폐업업체에 대한 불법 대출 △저신용자 및 신용불량자에 대한 과도한 대출부실 등이다.이 같은 대출은 대규모 부실로 이어졌다.

작년 12월 말 현재 분당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4639억원으로 전체 수신액(5498억원)을 훨씬 밑돈다.예금 금리를 높여주는 방식으로 자금을 유치해 대출해주는 과정에서 부실이 급증한 것이다.작년 3월 말까지 20% 초반 대였던 연체율은 6개월 만에 40% 이상으로 치솟았다.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도 12.10%에서 16.91%로 높아졌다.

이 저축은행은 자기자본의 20% 이내로 제한된 동일인 여신한도를 초과해 대출해주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기관경고를 받기도 했다.실질적인 차주는 1명인데 명의를 2명 이상으로 하는 편법을 동원했다.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다시 불거진 저축은행에 대한 감독당국의 영업정지 조치로 저축은행 업계는 긴장하고 있다.자칫 저축은행 전체 이미지가 나빠져 영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미 10개가량의 부실 가능성이 있는 저축은행들이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상황에서 조만간 2~3곳이 추가로 영업정지를 받을 것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실이 표면화되자 금융감독당국의 감독시스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110여개 저축은행을 담당하는 금감원 인력은 고작 40여명에 불과해 건전성 감독을 하기에는 역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