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 조는 노인들 뇌졸중 위험 4배 높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낮에도 졸음을 못견디고 꾸벅꾸벅 조는 노인들은 뇌졸중 발병 위험이 4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 버나뎃 보덴-알발라 박사는 21일 "낮에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채 졸음에 빠지는 노인들은 뇌졸중과 심장마비 등을 비롯한 혈관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밝혔다.
보덴-알발라 박사는 "고혈압과 당뇨,육체활동,비만,사회경제적 지위 등 요인을 배제해도 낮시간대에 심하게 조는 사람들의 뇌졸중 위험이 훨씬 더 컸다"고 말했다.
평균 연령 73세의 노인 2153명을 대상으로 2년반 동안 졸음 습관 및 혈관계 질환 발생 여부를 조사한 이번 연구에서 낮에 '다소 존다'고 말한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이 2.6배나 높았다.
심장마비를 비롯한 혈관계 질환을 겪을 확률 또한 전혀 졸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60%가량 높았다.
'심하게 존다'고 대답한 노인들의 경우 뇌졸중 발생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4.5배까지 치솟았다.
보덴-알발라 박사는 대낮에 조는 노인들이 혈관계 질환을 앓을 위험성이 큰 원인과 관련,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데 따른 생리적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미국 컬럼비아대 버나뎃 보덴-알발라 박사는 21일 "낮에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채 졸음에 빠지는 노인들은 뇌졸중과 심장마비 등을 비롯한 혈관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밝혔다.
보덴-알발라 박사는 "고혈압과 당뇨,육체활동,비만,사회경제적 지위 등 요인을 배제해도 낮시간대에 심하게 조는 사람들의 뇌졸중 위험이 훨씬 더 컸다"고 말했다.
평균 연령 73세의 노인 2153명을 대상으로 2년반 동안 졸음 습관 및 혈관계 질환 발생 여부를 조사한 이번 연구에서 낮에 '다소 존다'고 말한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이 2.6배나 높았다.
심장마비를 비롯한 혈관계 질환을 겪을 확률 또한 전혀 졸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60%가량 높았다.
'심하게 존다'고 대답한 노인들의 경우 뇌졸중 발생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4.5배까지 치솟았다.
보덴-알발라 박사는 대낮에 조는 노인들이 혈관계 질환을 앓을 위험성이 큰 원인과 관련,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데 따른 생리적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