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EA의 급속한 도시화, 고수익 테마될 것" 피델리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MEA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의 급속한 도시화가 향후 수십년간 고수익 투자 테마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닉 프라이스 피델레티 EMEA 주식형 펀드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뉴욕과 런던의 경우 인구 증가율이 낮거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고성장 도시들의 대부분은 2020년까지 연평균 3~5%의 인구 증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EMEA 지역에는 세계 상위 20개의 고성장 도시중 10개의 도시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스 매니저는 "아프리카의 경우 도시 거주 인구 비율이 2005년 38.3%에서 2030년에 50.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서방 국가의 경우 인구의 최소 3/4이 이미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EMEA 지역 정부들은 석유와 천연자원으로 축적한 부를 통해 인프라 개선과 같은 긴급한 문제를 대처할 수 있게 됐다"며 "이 같은 인프라 및 인적 자본에 대한 지출은 GDP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직접적인 수혜자로는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들을 꼽았다.
EMEA 지역의 엔지니어링, 건설, 주택건설 회사가 지난 5년간 상당한 이익 성장을 기록했고, 이 같은 성장세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어 EMEA 국가가 미국과 영국, 유럽 시장과 상관관계가 낮고, 지역내에서도 상호 연관성이 낮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25일 닉 프라이스 피델레티 EMEA 주식형 펀드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뉴욕과 런던의 경우 인구 증가율이 낮거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고성장 도시들의 대부분은 2020년까지 연평균 3~5%의 인구 증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EMEA 지역에는 세계 상위 20개의 고성장 도시중 10개의 도시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스 매니저는 "아프리카의 경우 도시 거주 인구 비율이 2005년 38.3%에서 2030년에 50.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서방 국가의 경우 인구의 최소 3/4이 이미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EMEA 지역 정부들은 석유와 천연자원으로 축적한 부를 통해 인프라 개선과 같은 긴급한 문제를 대처할 수 있게 됐다"며 "이 같은 인프라 및 인적 자본에 대한 지출은 GDP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직접적인 수혜자로는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들을 꼽았다.
EMEA 지역의 엔지니어링, 건설, 주택건설 회사가 지난 5년간 상당한 이익 성장을 기록했고, 이 같은 성장세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어 EMEA 국가가 미국과 영국, 유럽 시장과 상관관계가 낮고, 지역내에서도 상호 연관성이 낮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