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동의안 처리가 불투명해졌다.통합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은 25일 "한 후보자는 총리 후보로서 심각한 부적격 사유가 있는 것으로 당 입장을 정리했다"며 "내일 원내 대책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최종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에서는 '권고적 반대당론'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권고적 반대당론은 반대 당론과 자유투표의 중간 성격이다.한 후보자에 대한 인준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하면 새 정부 출범부터 발목을 잡는다는 여론의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노당도 이날 혁신비대위 회의를 연 결과 한 후보자 인준에 대한 반대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의석 분포상 민주당은 141석,민노당이 9석으로 양당의 의석수를 합치면 과반이다.양당이 반대 당론을 채택,한 명의 이탈 없이 반대표를 던지면 한 후보자 인준은 부결된다.

당초 무난한 인준을 예상했던 한나라당은 당 안팎의 표 단속에 나서는 등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초대 총리 인준이 부결될 경우 심각한 국정 파행 사태가 초래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야당을 압박하는 한편 당 소속 의원들의 26일 국회 본회의 출석을 독려했다.특히 친분이 있는 민주당 의원들과 '맨투맨' 설득작업도 펼쳤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대통령 취임식이 끝나자마자 민주당 김효석 원내대표와 별도의 회동을 갖고 인준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원내대표는 "한 총리 후보자 자체는 큰 하자가 없고,야당에서 거론하는 결격사유는 정치공세와 흠집내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만약 그 정도 이유로 인준을 해주지 않는다면,새 정부 출범에 엄청난 타격이 올 수밖에 없다"면서 "총리도 각료도 없이 대통령 혼자서 정부를 출범하는 것을 국민들이 용납하겠느냐"고 덧붙였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