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권, 증시 출발은 불리-한국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이명박 정권의 증시 출발은 이전 정권보다 불리하다고 분석을 내놨다.
이 증권사 김학균 연구원은 25일 "주식시장 입장에서만 보면 통제 불가능한 변수들인 해외 경제나 해외 증시의 흐름이 한국 증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내부적인 정책 변수가 가지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지난 5년간 자본시장 개방화로 인해 국가간 주가 동조화는 강화됐다"며 "주식이라는 위험 자산에 대한 글로벌 자산의 선호 정도와 그 결과물로서의 글로벌 증시의 추세가 국내 증시의 방향성 결정에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에서 신정부 집권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증시는 2003년 이후 5년간의 강세장을 이미 지나오면서 전반적인 가격 부담이 크게 높아져 있는데다 IMF이전 시장 논리에 어긋났던 비상식이 상식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수혜 역시 이전 주가 상승 과정에서 대부분 반영돼 버렸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노무현 정권 5년을 포함해 한국 증시가 초과 수익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IMF위기 국면에서 급진적으로 단행됐던 구조조정 효과 때문"이었다며 "IMF라는 위기를 지나오면서 제조업의 대차대조표는 어느 때보다 건실해졌고 기업 지배구조도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게 투명해졌다"고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주식시장에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거의 없어져 버렸고 이는 한국 증시의 상대 밸류에이션 상승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그는 "종합해 보면 이명박 정권은 오히려 이전 정권보다 불리한 위치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며 "경제가 안 좋아도 주가가 꾸준히 올랐던 것처럼 'Business Friendly'환경 하에서는 주가가 예상밖의 행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신정부의 정책 수혜를 미리부터 기대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한편 김 연구원은 "신정부 출범이 주식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지만 개별 정책들이 주식시장에 국지적 영향을 줄 가능성은 있다"며 "신정부 하에서 첫번째로 검토해야 할 이슈는 민영화이며 두번째는 대운하 공약"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
이 증권사 김학균 연구원은 25일 "주식시장 입장에서만 보면 통제 불가능한 변수들인 해외 경제나 해외 증시의 흐름이 한국 증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내부적인 정책 변수가 가지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지난 5년간 자본시장 개방화로 인해 국가간 주가 동조화는 강화됐다"며 "주식이라는 위험 자산에 대한 글로벌 자산의 선호 정도와 그 결과물로서의 글로벌 증시의 추세가 국내 증시의 방향성 결정에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에서 신정부 집권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증시는 2003년 이후 5년간의 강세장을 이미 지나오면서 전반적인 가격 부담이 크게 높아져 있는데다 IMF이전 시장 논리에 어긋났던 비상식이 상식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수혜 역시 이전 주가 상승 과정에서 대부분 반영돼 버렸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노무현 정권 5년을 포함해 한국 증시가 초과 수익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IMF위기 국면에서 급진적으로 단행됐던 구조조정 효과 때문"이었다며 "IMF라는 위기를 지나오면서 제조업의 대차대조표는 어느 때보다 건실해졌고 기업 지배구조도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게 투명해졌다"고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주식시장에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거의 없어져 버렸고 이는 한국 증시의 상대 밸류에이션 상승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그는 "종합해 보면 이명박 정권은 오히려 이전 정권보다 불리한 위치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며 "경제가 안 좋아도 주가가 꾸준히 올랐던 것처럼 'Business Friendly'환경 하에서는 주가가 예상밖의 행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신정부의 정책 수혜를 미리부터 기대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한편 김 연구원은 "신정부 출범이 주식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지만 개별 정책들이 주식시장에 국지적 영향을 줄 가능성은 있다"며 "신정부 하에서 첫번째로 검토해야 할 이슈는 민영화이며 두번째는 대운하 공약"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