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 우즈벡 수르길 프로젝트 가시화..'매수'-한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25일 한국가스공사에 대해 우즈베키스탄 수르길 프로젝트가 가시화됐다며 '매수'의견과 목표가 8만7000원을 유지했다.
윤희도, 김소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 보장 이익률이 상승한 가운데 발전용 LNG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해 1분기 호실적이 기대되고 수르길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는 등 자원개발 모멘텀이 유효해 올해도 한국가스공사의 주가 상승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르길 프로젝트에서 가스공사의 몫이 그리 크진 않지만 정부의 규제대상이 아닌 자원개발 프로젝트가 조금씩 가시화된다는 점에서 주가에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 2006년 3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추진하기로 합의한 이후, 지연됐던 수르길 프로젝트 시행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MOU가 이날 체결될 예정"이라며 "수르길 프로젝트의 총 가치는 2조2311억원으로 추정, 지분율을 고려한 가스공사(17.5%)의 수르길 프로젝트 가치는 3904억원(주당가치 5052원)"이라고 말했다.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세율 등 자세한 계약조건을 알수 없고, 판매시점의 천연가스와 화학제품 가격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정확한 가치를 추정하기를 어렵다는 게 이들의 판단.
이들은 "자원개발 부분은 추정이 어려운 개별 프로젝트의 가치를 산정해 기업가치에 반영하는 것보다는 프로젝트의 가시화 정도에 초점을 맞춰 투자 의사결정에 보수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르길 가스전의 가스매장량은 총 8400만톤으로 약 25년 동안 매년 300만톤의 천연가스가 생산될 예정. 이 가운데 200만톤은 우즈베키스탄을 통해 주변국으로 판매되고 100만톤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투입될 예정이다.
이들은 "화학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모두 천연가스 형태로 판매하면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에서 화학플랜트에 중점을 두고 있어 프로젝트의 성격이 화학플랜트를 통한 화학제품 판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가스공사의 지분율이 낮게 책정된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
윤희도, 김소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 보장 이익률이 상승한 가운데 발전용 LNG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해 1분기 호실적이 기대되고 수르길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는 등 자원개발 모멘텀이 유효해 올해도 한국가스공사의 주가 상승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르길 프로젝트에서 가스공사의 몫이 그리 크진 않지만 정부의 규제대상이 아닌 자원개발 프로젝트가 조금씩 가시화된다는 점에서 주가에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 2006년 3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추진하기로 합의한 이후, 지연됐던 수르길 프로젝트 시행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MOU가 이날 체결될 예정"이라며 "수르길 프로젝트의 총 가치는 2조2311억원으로 추정, 지분율을 고려한 가스공사(17.5%)의 수르길 프로젝트 가치는 3904억원(주당가치 5052원)"이라고 말했다.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세율 등 자세한 계약조건을 알수 없고, 판매시점의 천연가스와 화학제품 가격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정확한 가치를 추정하기를 어렵다는 게 이들의 판단.
이들은 "자원개발 부분은 추정이 어려운 개별 프로젝트의 가치를 산정해 기업가치에 반영하는 것보다는 프로젝트의 가시화 정도에 초점을 맞춰 투자 의사결정에 보수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르길 가스전의 가스매장량은 총 8400만톤으로 약 25년 동안 매년 300만톤의 천연가스가 생산될 예정. 이 가운데 200만톤은 우즈베키스탄을 통해 주변국으로 판매되고 100만톤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투입될 예정이다.
이들은 "화학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모두 천연가스 형태로 판매하면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에서 화학플랜트에 중점을 두고 있어 프로젝트의 성격이 화학플랜트를 통한 화학제품 판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가스공사의 지분율이 낮게 책정된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