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휴대전화 배터리 안전사고 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각종 휴대기기 가운데 휴대전화에서 발생한 배터리의 폭발.발화 등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휴대기기의 배터리(리튬2차전지) 관련 안전사고는 2005년 9건, 2006년 12건, 2007년 15건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이중 휴대전화 배터리 안전사고가 28건으로 전체의 73.7%를 차지했고 내비게이션 4건(10.5%), MP3 3건(7.9%), 노트북 2건(5.3%), PDA 1건(2.6%) 등이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과충전 등으로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해 케이스가 부풀어지는 '부풀음'이 14건(36.8%), '발화'가 9건(23.7%), '폭발'과 '고온'은 각각 6건(15.6%), '파열'은 3건(7.9%)이었다.
화상.화재 등의 우려가 큰 발화, 폭발, 고온, 파열 등의 사고 24건 중에서는 기기 사용 중 발생한 사고가 16건(66.7%), 배터리 충전 중 발생한 경우는 8건(33.3%)이었다.
소비자원은 "리튬2차전지 배터리는 열이나 충격에 취약하므로 찜질방과 같이 고온.고습의 장소에서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MP3플레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내비게이션의 경우는 여름철의 차량 내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 상승하게 됨으로 지속적인 충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휴대기기의 배터리(리튬2차전지) 관련 안전사고는 2005년 9건, 2006년 12건, 2007년 15건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이중 휴대전화 배터리 안전사고가 28건으로 전체의 73.7%를 차지했고 내비게이션 4건(10.5%), MP3 3건(7.9%), 노트북 2건(5.3%), PDA 1건(2.6%) 등이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과충전 등으로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해 케이스가 부풀어지는 '부풀음'이 14건(36.8%), '발화'가 9건(23.7%), '폭발'과 '고온'은 각각 6건(15.6%), '파열'은 3건(7.9%)이었다.
화상.화재 등의 우려가 큰 발화, 폭발, 고온, 파열 등의 사고 24건 중에서는 기기 사용 중 발생한 사고가 16건(66.7%), 배터리 충전 중 발생한 경우는 8건(33.3%)이었다.
소비자원은 "리튬2차전지 배터리는 열이나 충격에 취약하므로 찜질방과 같이 고온.고습의 장소에서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MP3플레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내비게이션의 경우는 여름철의 차량 내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 상승하게 됨으로 지속적인 충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