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으로 통합됐던 기자실이 개별 부처에서 다시 복원되고 부처별 전담 대변인도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새 정부 언론정책'이 최종 확정 단계에 와 있다면서 "기자실을 2007년 5월 이전 수준으로 되돌릴 방침"이라고 말했다.각 부처별로 기자실을 개별 운영한다는 의미다.

현재는 세종로ㆍ과천 정부청사 등에서 몇 개 부처가 브리핑실과 기자실을 함께 쓰는 통합 브리핑제로 운영되고 있다.이 관계자는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1개 대부처마다 1개 기자실을 설치하고 부처별 대변인이 직접 정책 현안을 브리핑하는 방식을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특히 기자실 운영 방침에 직접 개입하기보다 앞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언론 단체와의 논의를 거쳐 지침을 마련하도록 했다.현재 새 정부가 마련한 언론 정책에는 취재 제한조치 폐지와 독립 청사에 브리핑 룸과 송고 시설을 마련하는 것 등이 포함돼 있다.

기자들의 공무원 취재 제한 수단으로 활용됐던 전자브리핑 시스템은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폐지 여부를 결정토록 했다.정부 관계자는 "55억원의 혈세를 투입해 만든 통합 브리핑실을 아주 없애는 것도 무리여서 브리핑실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현재 각 부처별 언론 홍보를 맡고 있는 '정책홍보관리관'을 '기획조정관'으로 변경해 홍보 기능을 분리하고 정책홍보 기능은 각 기관장 밑에 신설되는 대변인에게 맡길 방침이다.대변인 제도는 현재 기획재정ㆍ통일ㆍ외교ㆍ국방부 등 일부 부처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