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발가락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이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발견돼 국제학계에 보고됐다고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가 5일 밝혔다.발가락이 두개만 찍힌 공룡 발자국 화석은 지금까지 중국과 미국에서만 발견됐다.

이 화석은 한국교원대 김정률 교수팀의 김경수 박사(충북과학고)가 경남 남해군 창선면의 함안층(약 1억~1억1000만년 전)에서 최초로 발견했다.길이는 약 15.5㎝,폭은 8.4㎝,보폭은 204㎝로 다섯개의 발자국이 잇달아 찍혀있다.이 같은 화석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일반 육식공룡과는 달리 뒷발 둘째 발가락의 발톱이 커다란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어 사냥감을 잡을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영화 '쥐라기 공원'에서 어린이들을 떼지어 습격하는 벨로시랩터나 드로마에오사우루스,데이노니쿠스 등과 같은 드로마에오사우루스 과(科) 공룡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이 발자국 화석에 두 발가락만 남은 것은 갈고리 모양의 발가락은 발자국으로 찍히지 않아 셋째,넷째 발가락만 발자국 화석으로 남았기 때문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