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리치들이 오랫동안 고민해오던 현안 가운데 하나가 '2010년 이후 세계경제 대공황과 자산시장 장기침체설'이다. 특히 최근 들어 서브 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이 장기화되면서 미국 경기가 침체기미를 보이자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

처음 이 주장을 들고 나온 사람이 버를론의 저자로 유명한 해리S. 덴트다. 인구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2차 대전 이후 196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가 2010년 이후에는 은퇴하기 시작하면 197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에코 붐 세대가 다시 핵심소비 계층으로 편입되는 2020년대 초까지는 세계경제가 대공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주가가 경기에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 앞서 간다면 2009년은 장기 포트폴리오와 자산분배 전략을 크게 수정해야 할 중요한 해가 된다.2010년 이후 세계경제의 대공황을 앞두고 증시가 장기침체 국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2009년에는 그 때까지 보유한 주식을 처분해 수익을 거둬들이고 국채나 우량 회사채로 돌려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주장은 갈수록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후발개도국보다 미국의 위상을 너무 높이 본 것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이 때문에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 와튼 스쿨 교수인 제라밀 시겔 등은 2010년 이후에도 중국,인도 등에 의해 세계경기가 지탱해 나갈 수 있다는 글로벌 해법(global solutions)을 제시해 반박해 왔다.

최근 들어 세계경제질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미주경제권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경제권,그리고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경제권 간의 3대 광역경제권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더욱이 시간이 흐를수록 유럽과 미주경제권 간에는 북대서양 자유무역지대(TAFTA)로,아시아와 유럽경제권 간에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로,아시아와 미주경제권 간에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의체(APEC)로 연결되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이런 움직임은 시간이 문제지 궁극적으로는 전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될 것으로 보여 종전처럼 특정국이 갖고 있는 인구 수와 인구구성상의 한계는 약해질 가능성이 높다.

최근처럼 글로벌화가 급진전되는 시대에 있어서는 선진국의 자본과 개도국의 인구를 잘 보완할 경우 세계경제는 추가 성장이 가능하고 증시가 침체국면에 빠질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는 논리다.

따라서 최근 다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2010년 후 세계경제 대공황과 자산시장 장기침체설'을 너무 우려할 필요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

한상춘 객원 논설위원 겸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부소장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