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中전인대 화두는 민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재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리고 있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 취재등록을 한 외국 기자는 1000여명에 육박한다.
얼핏 봐도 작년보다 서양 기자들이 훨씬 많아졌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반영한 것일 게다.
중국이 세계의 리더가 됐음은 여기서도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정작 중국의 민초들은 전인대에 별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베이징에서 만난 한 택시 기사는 "전인대는 높은 사람들이 모여 하는 회의로 우리와는 상관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누가 후 주석의 후계자가 될 것이냐가 아니라 돼지고기 값이 또 오를 것이냐는 질문에 훨씬 열심히 대답했다.
이번 중국 전인대의 최대 화두는 물가다.
다시 말하면 민생이 가장 큰 이슈다.
원자바오 총리는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물가잡기가 최우선의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곡물 수출을 전면 중단하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 의료서비스 등을 진흥시키겠다는 정책도 제시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발언이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주지 못하는 것은 전인대가 '그들만의 행사'가 되고 있기 때문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올해 물가라는 항목이 추가됐지만 작년에도 민생은 전인대의 가장 큰 의제였다.
지난 7일 전국으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경제부처의 주요 장관들은 그동안의 정책을 옹호하고 치적을 홍보하기에 바빴다.
성별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별 보고대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1년간 먹거리 값이 두세 배 뛰면서 고통스러워하고 있는 국민들이 기대했던 속 시원한 답은 나오지 않았다.
전인대 개최에 따른 도로 통제로 야기된 교통 체증에 대해 국민들에게 이해를 구하는 얘기도 한마디 없었다.
형식이 내용을 압도하고 있고,이게 바로 민초들과의 거리를 더 멀어지게 했다.
중국의 상황은 바다 건너 한국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자고 나면 오르는 물가 때문에 놀라는 것은 중국이나 한국 국민이나 매한가지다.
한국 정치권에선 요즘 누구에게 국회의원 공천을 줄 수 있네 없네,누가 떡값을 받았네 안 받았네 하는 입씨름이 한창이다.
국민들의 마음을 읽고 아픔도 만져주는 감동의 정치가 한국이나 중국 모두에 필요한 시점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얼핏 봐도 작년보다 서양 기자들이 훨씬 많아졌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반영한 것일 게다.
중국이 세계의 리더가 됐음은 여기서도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정작 중국의 민초들은 전인대에 별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베이징에서 만난 한 택시 기사는 "전인대는 높은 사람들이 모여 하는 회의로 우리와는 상관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누가 후 주석의 후계자가 될 것이냐가 아니라 돼지고기 값이 또 오를 것이냐는 질문에 훨씬 열심히 대답했다.
이번 중국 전인대의 최대 화두는 물가다.
다시 말하면 민생이 가장 큰 이슈다.
원자바오 총리는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물가잡기가 최우선의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곡물 수출을 전면 중단하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 의료서비스 등을 진흥시키겠다는 정책도 제시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발언이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주지 못하는 것은 전인대가 '그들만의 행사'가 되고 있기 때문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올해 물가라는 항목이 추가됐지만 작년에도 민생은 전인대의 가장 큰 의제였다.
지난 7일 전국으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경제부처의 주요 장관들은 그동안의 정책을 옹호하고 치적을 홍보하기에 바빴다.
성별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별 보고대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1년간 먹거리 값이 두세 배 뛰면서 고통스러워하고 있는 국민들이 기대했던 속 시원한 답은 나오지 않았다.
전인대 개최에 따른 도로 통제로 야기된 교통 체증에 대해 국민들에게 이해를 구하는 얘기도 한마디 없었다.
형식이 내용을 압도하고 있고,이게 바로 민초들과의 거리를 더 멀어지게 했다.
중국의 상황은 바다 건너 한국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자고 나면 오르는 물가 때문에 놀라는 것은 중국이나 한국 국민이나 매한가지다.
한국 정치권에선 요즘 누구에게 국회의원 공천을 줄 수 있네 없네,누가 떡값을 받았네 안 받았네 하는 입씨름이 한창이다.
국민들의 마음을 읽고 아픔도 만져주는 감동의 정치가 한국이나 중국 모두에 필요한 시점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