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에서는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은 주식 1호'로 꼽고 있다.
10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외환위기 때인 1997년을 제외하고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20년간 매년 발행주식의 5% 이상을 무상증자했다.
1988년 이 회사 주식 1000주(당시 주가는 1만5000원 수준)를 샀던 투자자는 이 같은 무상증자를 통해 현재 주식이 3110주로 불어나게 된다.
금액으로 따지면 이날 종가(18만500원)를 기준으로 할 때 당초 투자금 1500만원이 5억6000여만원으로 급증해 통산 수익률이 3700%를 넘는다.
여기에다 1962년 상장 이후 단 한 해를 거르지 않고 현금배당을 실시하고 있어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는 1988년 이후 매년 주당 500원 이상씩 현금배당을 해오다 2001년부터는 현금배당액을 주당 1000원으로 높였다.
무상증자와 현금배당뿐 아니라 주가도 1988년 초 4600원대에서 최근 18만원대로 올라 39배로 불었다.
회사 관계자는 "수십년 동안 무상증자와 현금배당이 가능했던 것은 매년 실적이 그만큼 증가한 게 기반이 됐고 주주 우선의 경영 방침도 한몫 했다"고 설명했다.
대신증권 정보라 연구원은 "유한양행은 처방의약품의 급속한 성장과 신약 레바넥스의 매출 증가,법인세 감면효과 등이 어우러져 순이익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유한킴벌리 한국얀센 등 자회사의 실적 호조도 예상돼 지분법이익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대신증권은 목표주가를 23만원,우리투자증권은 25만원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