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민 문화부 차관 "경찰청 기자실 우선 복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시절 '대못질'을 당하고 폐쇄됐던 정부 부처 기자실을 복원키로 최종 확정됐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10일 외교부 청사에서 각 부처 대변인 회의를 갖고 "가장 시급한 경찰청 기자실부터 시작해 기자실을 복원하기로 했다"며 "일부 불가피한 부처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부처별 기자실을 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본지 3월5일자 A2면 참조
신 차관은 "기자협회와 현장기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난해 정한 '취재지원에 관한 기준' 등 총리 훈령을 폐지하고 기자들의 청사 출입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했다"며 "공무원에 대한 취재접근권도 보장하는 방향으로 합의하는 등 기자들이 정부 부처를 취재하는 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경찰청 기자실과 문화부 등 단독 건물을 갖고 있는 정부부처 기자실이 복원되고,기자들에게 정부 부처를 제한없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증도 새로 발급된다.
신 차관은 "단독 청사의 경우 자율적으로 즉각 실시하기로 했다"며 "부처별로 새로 발급되는 기자증으로 기자 출입이 허용되며 공무원을 만나는 데 불편함이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종합청사의 경우 각 부처가 기자들의 명단을 청사관리소에 의뢰해 발급하기로 했지만 각각 기자실을 둘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외교부 통일부 행정안전부 등 3개 부처가 쓰게 될 광화문 외교부 청사의 경우 부처별로 따로 기자실을 둘지 합동 기자실을 만들지는 각 부처와 기자단과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10일 외교부 청사에서 각 부처 대변인 회의를 갖고 "가장 시급한 경찰청 기자실부터 시작해 기자실을 복원하기로 했다"며 "일부 불가피한 부처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부처별 기자실을 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본지 3월5일자 A2면 참조
신 차관은 "기자협회와 현장기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난해 정한 '취재지원에 관한 기준' 등 총리 훈령을 폐지하고 기자들의 청사 출입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했다"며 "공무원에 대한 취재접근권도 보장하는 방향으로 합의하는 등 기자들이 정부 부처를 취재하는 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경찰청 기자실과 문화부 등 단독 건물을 갖고 있는 정부부처 기자실이 복원되고,기자들에게 정부 부처를 제한없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증도 새로 발급된다.
신 차관은 "단독 청사의 경우 자율적으로 즉각 실시하기로 했다"며 "부처별로 새로 발급되는 기자증으로 기자 출입이 허용되며 공무원을 만나는 데 불편함이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종합청사의 경우 각 부처가 기자들의 명단을 청사관리소에 의뢰해 발급하기로 했지만 각각 기자실을 둘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외교부 통일부 행정안전부 등 3개 부처가 쓰게 될 광화문 외교부 청사의 경우 부처별로 따로 기자실을 둘지 합동 기자실을 만들지는 각 부처와 기자단과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